
정부가 2042년까지 300조원 규모의 민간 투자를 유치해 세계 최대 첨단 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를 조성한다.
또한 반도체,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등 6개 첨단산업에 2026년까지 550조원 규모의 민간 주도 투자를 이끌어낸다는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5일 윤석열 대통령이 주재하는 제14차 비상경제민생회의에서 국가첨단산업 육성 전략을 발표했다.
산업부는 ▷초격차 기술력 확보 ▷혁신인재 양성 ▷지역 특화형 클러스터 ▷튼튼한 생태계 구축 ▷투자특국(投資特國) ▷통상역량 강화를 6대 국가 총력 지원과제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2042년까지 300조원의 대규모 신규 민간 투자를 바탕으로 단일 단지 기준으로 세계에서 가장 큰 첨단 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를 경기도에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클러스터에는 첨단 반도체 제조공장(팹) 5개를 구축하고 국내외 우수 소재·부품·장비(소부장) 및 팹리스(반도체 설계) 기업을 포함해 최대 150개 기업을 유치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조성된 신규 클러스터를 기흥·화성·평택·이천 지역 기존 반도체 생산단지와 인근 소부장 기업, 판교 팹리스 밸리와 연계해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를 조성한다는 구상이다.
이창양 산업부 장관은 브리핑에서 "반도체 클러스터 입주 기업에는 취득세·재산세 감면, 인허가 절차 간소화 등의 혜택이 제공되며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용적률은 일반 산단보다 용적률이 1.4배 확대 적용된다"고 말했다.
또한 올해 안으로 국가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와 소부장 특화단지를 새롭게 지정해 지역 특화형 클러스터를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세계에서 가장 투자하기 좋은 '투자특국'을 만든다는 목표로 조세특례제한법을 조속히 개정해 투자세액공제를 대폭 확대하는 한편 인허가 소요 기간을 60일로 제한하는 '인허가 타임아웃제'도 도입한다.
이와 함께 반도체(340조원), 디스플레이(62조원), 이차전지(39조원), 바이오(13조원), 미래차(95조원), 로봇(1조7천억원) 등 6개 첨단산업에서 2026년까지 550조원 규모의 민간 주도 투자를 이끌어낸다는 전략이다.
디스플레이는 2030년 세계 1위 도약을 목표로 3년 내에 국내 생산 용량을 50% 이상 확대하고 자동차는 전기차 생산 규모를 5배까지 늘린다. 이를 통해 2030년까지 첨단산업 초강대국의 반열에 진입하겠다는 목표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