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 뺑뺑이 10대 사망' 사건을 계기로 신고 접수 단계부터 환자 분류를 시작하고, 소방과 의료기관 간 장벽을 허물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21일 '제4차 응급의료 기본계획'(2023~2027)을 발표했다. 정부가 지난 1월 발표한 '필수의료 지원대책'의 중증·응급 분야에 관한 세부계획에 해당하는 것으로, 현장·이송부터 응급실 진료, 수술 등 최종 치료까지 지역완결적 응급의료체계를 마련하겠다는 내용이 핵심이다.
특히 응급환자를 분류하는 체계인 케이타스(KTAS·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를 토대로 구조 현장과 병원 간 통용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하고, 중증도에 따라 각 응급의료기관이 구분된 진료기능을 전담하도록 전달 체계를 손보겠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에 대해 조석주 부산대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신고 접수 단계에서부터 환자 분류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말 급한 환자만 119에 전화할 수 있도록 경증 환자를 위한 신고 전화번호를 분리할 필요가 있는데 그런 점이 반영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어"구급대·응급실 의료진뿐만 아니라 신고자까지 세 주체가 서로 가진 정보는 다를지라도 어느 정도 유사한 개념 하에 환자 중증도 분류를 위한 통일된 체계를 갖출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질환·증상별 대처 가능한 의료기관을 체계적으로 정비하려면 지역 내 각 주체가 머리를 맞댈 수 있는 장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있었다.
조 교수는 "지역 안에서 어느 병원이 어떤 환자를 진료할 수 있는지에 대해 지역 의료계 등 관계자들이 정기적으로 모여 의료기관에 대한 정보를 계속 업그레이드 해나가야 한다"고 했다.
소방과 의료기관이 부처 간 장벽을 허물고 환자 예후 등 관련 정보 공유를 활발히 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한 대학병원 관계자는 "구급활동 시 이뤄진 처치와 이후 환자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병원과 소방이 연계해 공유할 필요가 있다. 지금은 구급대가 환자에게 처치를 한 후 병원에 이송한 뒤에는 병원에서 그 환자가 어떻게 되었는지 알지 못한다"며 "일본에서는 병원에 환자를 실어다 준 구급대원이 추후 환자 상태를 조사하며, 관련된 모든 데이터가 연구자들에게 공개되기 때문에 연구 자료로 활용하기가 용이하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김여정 "리재명, 역사의 흐름 바꿀 위인 아냐" 발언에…대통령실 "진정성 왜곡 유감"
김건희 "내가 죽어야 남편 살길 열리지 않을까"
"사과한다고 2030 마음 열겠냐"는 조국에 "이래서 사면 안돼" 우재준 비판
조국 "내가 사과한다고 2030 마음 열겠나"…국힘 "그럼 은퇴해라"
"尹 구치소 CCTV 영상 보겠다"…민주당, '자료 제출' 요구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