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가 전원위원회를 구성해 선거제 개편 논의를 앞둔 가운데 국민들은 거대 양당 중심의 정당정치를 문제로 인식하면서도, 현행 선거제도 유지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당 독식의 선거제 개편을 위해 비례대표 확대 등이 필요하지만 정작 이를 위한 개편 논의는 여론의 지지를 못 받는 것으로 풀이된다.
2일 한국행정연구원의 한국 정치 양극화와 제도적 대안에 대한 국민인식조사에 따르면 다당제를 가로막고, 거대 양당 중심의 정당정치를 불러온 것으로 평가되는 현행 소선거구제를 유지해야 한다는 응답자가 55.4%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행 소선거구제 이외에는 '2인 선거구제로 변경' 23.9%, '3∼5인 선거구제로 변경' 18.2% 등을 선호한다고 응답했다.
다당제로 가기 위한 비례대표 의석 확대에 대해서는 82.2%가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그 이유로 62.8%가 비례대표 후보 공천과정의 민주성이 부족하다고 응답했다.
박준 한국행정연구원 연구위원은 "지역기반 다당제 경험과 비례대표 후보 공천의 불투명성 등으로 선거제도 개혁 당위성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가 약하다"고 평가했다.
소선거구제에 대한 높은 선호도에도 불구하고 응답자 상당수는 현행 양당 중심 구도에 문제의식을 갖고 있었다.
한국 정당정치의 가장 중요한 해결 과제에 대해 25.9%가 '거대 양당 중심의 대결주의적 정치구조'를 꼽았다. 또 '정당 정치인과 다수 유권자 간 괴리' 19.4%. '불투명하고 불공정한 후보 공천' 18.2%, '승자독식의 선거제도' 13.4% 등을 문제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번 조사는 전국 만 18세 이상 일반 국민 1천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12월 21일부터 1월 15일까지 대면면접으로 이뤄졌다.
이같이 선거 제도 개편에 대해 여론이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나자, 학자들도 우려를 표하고 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과 정치, 법학자 50여명은 지난달 31일 '선거제도 개혁 촉구 정치·법학자 50인 선언식'에서 "국회 전원위원회가 구성됐지만 방향성이 뚜렷하지 않아 각 정당의 이해관계 속에 선거제도 개혁이 후퇴하지 않을지 우려가 크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번 선거제도 개혁의 핵심은 기득권 양당의 구도를 깨고 유권자 의사가 제대로 반영되어 새로운 정치 세력에 의회 진출의 기회를 주는 것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 ▷비례대표 의원 정수 확대 ▷연동형 비례대표제 유지 시, 위성정당 창당 방지 법제화 ▷중대선거구제 변경 검토 중단 등을 방안을 제시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