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가상자산 투자 논란의 장본인인 김남국 의원의 기습 탈당으로 내홍에 휩싸인 가운데 김 의원에 대한 징계수위에 정치권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김 의원은 지역구 국회의원인 데다 현재 당적도 보유하지 않고 있어 김 의원에 대한 징계는 국회 윤리특별위원회(윤리특위)와 본회의를 통해서만 가능하다.
정치권에선 김 의원이 국회의원의 품위를 훼손하긴 했지만 파렴치범인지에 대해서는 여야의 평가가 엇갈리고 있기 때문에 징계수위가 제명까지는 이르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민주당은 김 의원 탈당 파문의 후폭풍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동안 이재명 대표의 사법리스크를 겨냥해 왔던 당내 비주류는 전당대회 돈 봉투 살포 의혹에 이어 김 의원 논란 때도 당 지도부가 엉거주춤한 모습을 보였다고 비판을 쏟아내고 있다.
조응천 의원은 18일 라디오 인터뷰에서 지도부의 전날 윤리특위 제소를 두고 "김 의원이 탈당 선언을 했을 때 바로 해야 했다. 면피용·꼬리자르기 탈당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줄 수 있는 절호의 기회였다"고 했다. 그러면서 "정치가로서 과감한 결단, 한 박자 빠른 결정을 하기에는 행정가로서의 때를 벗지 못한 게 아닌가"라며 이 대표를 직접 겨냥하기도 했다.
반면 당 지도부는 윤리특별위원회 제소로 당이 할 수 있는 최선의 조치를 다했다며 논란 수습에 주력하고 있다. 자체 진상조사가 진행되는 중에 윤리특위 제소를 병행하는 것은 '책임 방기' 논란이 불거질 수 있어 제소를 미뤘다는 게 당 주류의 논리다.
민주당 관계자는 "검찰 수사 개시로 당내 조사가 실효성이 떨어진 상황에서 이 대표가 지체 없이 과감하게 결단한 것"이라며 "사태의 매듭을 지을 최적의 타이밍이라고 본 것"이라고 이 대표를 두둔했다.
국민의힘에 이어 민주당까지 윤리특위에 제소함에 따라 김 의원에 대한 징계는 국회 공식절차를 밟게 됐다. 국회법에 따르면 윤리특위는 '공개회의에서 경고', '공개회의에서 사과', '30일 이내 출석 정지', '제명' 등 4가지 징계를 할 수 있다.
윤리특위 결정은 국회 본회의에서 재적의원 과반 출석·과반 찬성으로 확정된다. 다만 최고 수위인 '제명'은 재적의원 3분의 2의 찬성이 필요하다.
정치권에선 김 의원이 소속이었던 민주당이 167석을 보유한 원내 의석구도를 고려하면 제명까지는 힘들지 않겠느냐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제21대 국회 임기가 얼마 남지 않아 김 의원이 어떤 수위의 징계를 받더라도 실효성이 높지 않다는 분석도 나온다. 아울러 내년 4월 총선을 앞둔 여야가 향후 다양한 이슈로 충돌할 공산이 크기 때문에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김 의원 징계 이슈도 관심에서 멀어질 가능성도 없지 않다.
정치권 관계자는 "헌정사상 국회의원의 제명은 43년 전 김영삼 전 총재가 유일했다"며 "김 의원이 새 역사를 쓰기에는 사안이 약한 것 같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