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정용 전기·가스 요금이 지난해보다 30% 넘게 올라 외환위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22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1분기(1~3월) 전기·가스 및 기타 연료 물가지수는 135.49(2020년=100)로 작년 동기보다 30.5% 치솟았다. IMF 외환위기 시기였던 1998년 1분기(41.2%) 이후 최대 상승률이다.
전기료 물가지수는 136.48을 기록, 전년 대비 29.5% 올라 관련 통계가 작성된 1975년 이후 최대 상승률을 보였다. 도시가스 물가지수는 129.00으로 36.2% 올랐고, 등유 물가지수는 171.14로 23.6% 뛰었다.
이는 지난해부터 줄줄이 인상된 공공요금이 본격적으로 물가에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전기 요금은 지난해 4월과 7월, 10월 세 차례에 걸쳐 ㎾h(킬로와트시)당 19.3원 인상됐고 올해 1월에도 13.1원 인상됐다. 도시가스 요금은 지난해 4월과 7월, 8월, 10월 4차례에 걸쳐 MJ(메가줄)당 5.47원 올랐다.
특히 저소득층일수록 가파르게 오른 물가에 직격탄을 맞았다. 지난해 4분기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가 연료비로 지출한 금액은 평균 7만6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1만2천25원(20.7%) 늘어났다. 2분위 연료비 지출액은 전년보다 1만3천459원(22.0%) 증가한 7만4천634원이다.
반면 같은 기간 소득 상위 20%인 5분위 가구의 평균 연료비는 11.5% 증가에 그쳤다. 중산층인 3·4 분위 가구의 연료비는 각각 16.0%, 15.3% 늘었다. 전체 평균 증가 폭은 16.4% 수준이었다.
2분기 이후에도 전기·가스 물가 상승세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가 지난 16일 전기요금 ㎾h당 8원, 가스요금 1MJ당 1.04원 인상을 결정하면서 지난해 '가스비 대란'에 이어 '냉방비 대란'에 대한 우려가 나온다.
정부는 이에 대비해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 등 에너지 취약계층에 대해서는 평균 사용량까지 요금 인상분 적용을 1년간 유예하기로 했다. 지난해 복지할인 대상자의 평균 전력사용량(313㎾h)까지는 인상 전 단가를 적용하고, 이를 초과하는 사용량에만 인상 후 단가를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또 복지할인 요금제도를 지원하고 에너지바우처 지급 대상도 확대할 방침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