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역을 마치지 않은 의대생·전공의 등 10명 중 7명은 공중보건의(공보의)나 군의관으로 군 복무를 할 의사가 없다는 설문 결과가 나왔다.
대한공중보건의사협의회와 대한전공의협의회, 젊은의사협의체 권익위원회는 지난달 18~31일 전국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 인턴·레지던트, 현역 공보의·군의관 총 2천177명을 대상으로 '의료인 군 복무 형태 관련 인식 조사'를 실시했다.
'현역 복무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긴 의료인들의 군 복무에 어느 정도 부담을 느끼는지'를 묻자 이들 중 95.8%(매우 부담 85.9%, 부담 9.9%)가 '부담을 느낀다'고 답했다.
병역을 마치지 않은 응답자 1천395명 중 74.7%(1천42명)는 현역 복무 의사가 있다고 답했다. 이들 중 92.2%(1천286명)는 주변에 현역으로 군 복무를 한 의료인이 있다고 응답했다.
공보의·군의관 지원자가 줄어드는 이유를 묻는 질문에는 ▷장기간의 복무에 대한 부담(97.1%) ▷개선되지 않는 처우(생활환경, 급여 등) 67.9% ▷불합리한 병역 분류·지원 제도(32.1%) 등의 순으로 응답이 많았다.
실제로 신규 공보의 수는 지난 2017년 814명에서 올해 450명으로 6년 만에 45% 감소했다.
현재 일반 병사의 군 복무 기간은 육군 기준 18개월인 반면, 공보의와 군의관은 복무 기간이 37~38개월(기초군사훈련 기간 포함)로 긴 편이다.
또한 현재 일반 병사 월급은 130만원(육군병장 기준), 공보의는 206만원(일반의 기본급 기준) 수준이다. 여기에 정부가 2025년까지 병사 월급(지원금 포함)을 205만원으로 올릴 계획이라 앞으로 격차가 더욱 줄어들 전망이다.
신정환 대한공중보건의사협의회장은 "현역병 처우는 복무 기간과 급여 등 여러 면에서 개선됐지만 공보의·군의관 처우는 수십 년째 제자리다"며 "복무 기간을 포함해 처우와 환경 개선이 없다면 공보의·군의관 수가 계속 줄어들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재산 70억 주진우가 2억 김민석 심판?…자신 있나" 與박선원 반박
이 대통령 지지율 58.6%…부정 평가 34.2%
김민석 "벌거벗겨진 것 같다는 아내, 눈에 실핏줄 터졌다"
트럼프 조기 귀국에 한미 정상회담 불발…"美측서 양해"
김기현 "'문재인의 남자' 탁현민, 국회직 임명 철회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