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두 달 만에 빗물 새고, 수입차 특혜 논란 터지고…대구 공영주차장 '요지경'

개장 두 달 만에 '누수' 터진 북성공영주차장…안전문제 우려·방수공사도 무용
시설관리공단은 범물근린공영주차장 외제차 업체 '특혜 논란'에 계약 해지 추진

28일 오전 11시쯤 대구 중구 북성공구골목에 있는 북성공영주차장. 이날 아침에 내린 비가 그쳤지만, 주차장 내부에서는 빗물이 뚝뚝 떨어지면서 물웅덩이를 만들었다. 신중언 기자
28일 오전 11시쯤 대구 중구 북성공구골목에 있는 북성공영주차장. 이날 아침에 내린 비가 그쳤지만, 주차장 내부에서는 빗물이 뚝뚝 떨어지면서 물웅덩이를 만들었다. 신중언 기자

대구 공영주차장의 수난시대다. 개장하자마자 빗물이 새는 곳이 있는가 하면, 특정 업체 특혜 논란에 휩싸인 곳도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주차장을 이용하는 시민들의 불편으로 이어지고 있어 관할 지자체의 조속한 개선이 필요해 보인다.

◆중구 공영주차장 비만 오면 '물난리'…"신상 주차장인데"

지난달 28일 오전 11시쯤 방문한 대구 중구 북성공구골목 인근의 북성공영주차장. 이른 아침까지 비가 그친 가운데, 이곳 주차장 내부에는 물난리가 난 모습이었다. 천장의 철골 구조물 틈새로 빗물이 떨어져 바닥 이곳저곳에 물웅덩이가 고여 있었다. 누수 현상은 광범위하게 발생했는데, 일부 이용객들은 천장에서 떨어진 빗물을 피하고자 두 손으로 머리를 가린 채 움직이기도 했다.

이 주차장을 몇 차례 이용했다는 신모(63) 씨는 "개장 당시에는 몰랐는데, 최근 연일 비가 내리면서 누수현상이 심각하다는 것을 알게 됐다"며 "비가 많이 내릴 때면 신발이 거의 잠길 정도로 물이 고인다. 바닥이 미끄럽고 주변에 전기 장치도 제법 있어 추후 안전사고가 발생할까 우려스럽다"고 했다.

문제는 이곳이 문을 연 지 고작 두 달째라는 점이다. 중구청에 따르면 해당 주차장은 연면적 1천379㎡, 주차면수 123면 규모의 4층짜리 건물식 주차장으로 지난 5월 1일 개장했다. 해당 공영주차장 관리인은 "시공상의 하자라고밖에 볼 수 없다. 옥상에서부터 물이 제대로 안 빠져 이런 문제가 생긴 것"이라며 "구청에서 이를 확인하고 방수공사도 실시했지만 문제는 그대로였다. 손님들 불평이 이만저만이 아니다"라며 한숨을 쉬었다.

부실시공 논란에 대해 중구청 관계자는 "해당 시설이 철골을 조립한 공작물 형태라 누수나 배수가 취약한 것으로 보인다"며 "시공사의 하자보증기간이 내년 9월까지인 만큼, 꾸준히 문제점을 고쳐나가겠다"고 밝혔다.

28일 오전 11시쯤 대구 중구 북성공구골목에 있는 북성공영주차장. 이날 아침에 내린 비가 그쳤지만, 주차장 내부에서는 빗물이 뚝뚝 떨어지면서 물웅덩이를 만들었다. 신중언 기자
28일 오전 11시쯤 대구 중구 북성공구골목에 있는 북성공영주차장. 이날 아침에 내린 비가 그쳤지만, 주차장 내부에서는 빗물이 뚝뚝 떨어지면서 물웅덩이를 만들었다. 신중언 기자

◆외제차 수입업체 특혜 논란에 캠핑카 알박기까지

대구에서 불거진 공영주차장 논란은 여기서 끝이 아니다. 지난달에는 수성구 범물동의 범물근린공영주차장을 외제차 수입업체가 수년간 차고지처럼 사용하고 있었다는 사실이 드러나 '특혜 시비'가 불거지기도 했다. 당시 한 방송 보도에 따르면 수성구 범물동의 한 공영주차장에 출고 전 수입차 90여 대가 주차돼 있었다. 수입차 판매 업체가 공단에 요금을 내고 차고지처럼 사용한 것이다.

주차장을 운영하는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에 따르면 공단은 2020년 11월부터 외제차 수입업체들과 정기계약을 맺고 80면 이상을 사용하도록 했다. 주차 수요가 적다는 이유 때문이었는데, 업체들은 대구시 조례에 따라 하루 최대 요금 2천원, 한 달에 4~5만원 수준의 요금만 냈다. 일반 주차장과 비교하면 8분의 1수준이다. 이에 우리복지시민연합 등 시민단체는 "공영주차장의 취지와 목적과 달리해 특정업체와 계약을 맺고 있는 것은 위법이고 특혜"라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문제가 커지자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은 해당 업체들과 계약 해지에 나서는 등 사태 수습에 나섰다. 공단 관계자는 "정기 계약을 맺은 업체 3곳 모두와 계약 해지 절차를 밟고 있다"며 "이미 두 업체는 차를 모두 뺐고 나머지 한곳도 2개월 내 전부 정리할 예정이다. 앞으로 번호판이 없는 신차는 주차를 하지 못하도록 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달서구청이 월암동 1148번지 일대에 마련한 임시주차장에서는 '캠핑카 알박기' 논란이 터지기도 했다. 해당 주차장은 지난 4월 주민 편의와 일대 불법주차 해소를 위해 62면 규모로 만들어졌는데, 캠핑카와 카라반 수십대가 장기 주차를 하면서 시민들의 불편을 초래했다는 것이다.

3일 해당 주차장을 방문해 보니 30여 대에 이르는 캠핑카와 카라반이 빼곡히 자리를 잡고 있었다. 캠핑 용도가 아닌 것으로 보이는 승용차나 SUV는 채 10대가 안 됐다. 길이가 긴 캠핑카의 경우는 한 칸을 넘게 차지하기도 했다.

인근 주민 정모(42) 씨는 "한 번 주차된 캠핑카 등은 최소 1~2주는 움직이지 않는다. 주차장에 자리가 없어지니 다른 차들이 도로 양옆에 주차를 해대서 저녁시간만 되면 일대가 많이 혼잡해진다"며 "모두가 사용하는 공영주차장에 이런 민폐를 끼치는 차주들은 제재를 받아야 할 것"이라며 분통을 터트렸다.

매주 1~2건씩 관련 민원이 접수되고 있지만, 달서구청은 단속할 규정이 없다는 입장만 되풀이하고 있다. 달서구청 관계자는 "자동차관리법상 자동차로 분류된 캠핑카를 공영주차장에 주차하지 못하도록 단속할 규정이 없다"며 "장기 주차 자체도 주차장법에 근거 조항이 없어 문제 삼기가 어렵다"고 설명했다.

3일 오전 대구 달서구 월암동 1148번지 일대의 임시주차장에는 30여 대에 이르는 캠핑카와 카라반이 빼곡히 주차돼 있었다. 신중언 기자
3일 오전 대구 달서구 월암동 1148번지 일대의 임시주차장에는 30여 대에 이르는 캠핑카와 카라반이 빼곡히 주차돼 있었다. 신중언 기자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