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개발한 한국형 생성형 인공지능(AI) 서비스를 위한 거대언어모델(LLM) '하이퍼클로바X'가 베일을 벗었다. 챗GPT로 시장을 선점한 마이크로소프트(MS), 바드(Bard)를 내세운 구글 등 해외 빅테크 기업에 맞서 국내 IT업계도 AI 분야에서 영역을 확장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24일 네이버는 '팀 네이버 콘퍼런스 단 23'을 열고 하이퍼클로바X와 연동이 가능한 클로바X, 검색에 특화된 대화형 AI 큐:(Cue:)를 처음으로 선보였다. 네이버는 생성형 AI 열풍에 대응하기 위해 신성장 동력이 될 한국형 LLM을 개발에 힘써왔다.
이날 공개된 하이퍼클로바X는 지난 2021년 출시된 하이퍼클로바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한국어에 최적화됐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챗GPT와 비교하면 한국어를 약 6천500배 더 많이 학습한 수준이다.
향상된 성능의 LLM을 기반으로 쇼핑·광고·금융·창작·해외 사업 등 폭넓은 분야에 활용이 가능하다. 클로바X는 창작과 추론, 번역 등을 수행할 수 있고 질문과 답변이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멀티턴(multi-turn) 대화 기능도 갖췄다. 업무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도구로 업무보고서, 자기소개서 등 글쓰기에 도움을 받을 수 있고 면접 연습, 고민 상담 목적으로도 활용된다.
성낙호 네이버클라우드 하어퍼스케일 AI 기술 총괄은 "투자 제안서 초안을 써주세요라는 질문에 하이퍼클로바X는 서비스 소개, 서비스의 특징과 장점, 시장·경쟁사 분석, 서비스 목표와 계획, 예상 수익과 투자 유치 계획과 같은 항목으로 나눠 투자 제안서 초안을 구성한다"고 설명했다.
검색 서비스 형태도 달라진다. 큐:를 이용하면 복잡하고 긴 질문에 대해 최신 정보를 활용한 검색 결과를 확인 가능하다. 가령 '주말에 수성못 주변에 브런치 먹을 식당을 찾아줘'라는 질문에 네이버가 보유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적합한 장소를 찾고 메뉴와 특징, 영업시간, 이미지 등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하이퍼클로바X의 등장은 IT분야 스타트업들도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네이버는 새로운 변화를 맞아 동반 성장의 가치를 강조했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네이버는 기술로 세상을 변화시키는 꿈을 꾼다"며 "네이버의 경쟁력은 다양한 서비스와 파트너들이 서로 연결돼 성장을 이끌고, 이는 다시 플랫폼의 성장으로 이어지는 '위닝루프' 구조에 있다"고 했다.
대구지역 IT업계도 AI시장 성장에 기대감이 높다. 대구디지털혁신지흥원(DIP) 관계자는 "그동안 해외 빅테크 기업이 관련 기술 패권을 가져가면서 종속성이 커질 것이란 우려점이 있었다"면서 "선도기업 네이버가 한발 앞서나가는 만큼 새로운 기회가 창출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 주도의 '디지털플랫폼정부' 사업도 탄력을 받아 IT기업들이 낙수효과를 누릴 것으로 전망된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전한길뉴스' 출범하자마자 홈페이지 마비…보수층 대안 언론 기대
"尹 만세"…유인물 뿌리고 분신한 尹 대통령 지지자, 숨져
野 의원들, '계란 투척' 봉변…경찰, 헌재 시위대 해산 시도
'30번째 탄핵' 野, 崔대행 탄핵소추 발의…'줄탄핵' 무리수 비판 거세 [영상]
이재명, 이재용 만나 "기업 잘 돼야 나라 잘 돼…경제 성장 견인차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