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내년도 예산안 시정 연설 차 국회를 방문한 가운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등 야당 지도부와 환담을 가졌다. 민주당은 지난해 보이콧과 달리 환담과 시정연설에 모두 참석하면서 달라진 분위기가 감지된다.
31일 국회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이날 시정 연설 전 5부 요인 및 여야 지도부와 사전환담을 가진 자리에서 이 대표와 사실상 처음으로 '소통 만남'을 가졌다. 취임 후 정부 기념식 등 행사장에서 마주쳐 짧게 인사를 나눈 것 외에 만남은 처음이다. 이날 윤 대통령과 이 대표는 서로 민생 위기 관련 의견을 나눈 것으로 전해졌다.
윤 대통령은 환담 모두발언에서 "지금 여야가 다, 정부도 함께 같은 생각을 갖고 있다"며 "어려운 민생을 저희가 해결하고, 또 여러 가지 신속하게 조치해 드려야 될 것들이 많이 있기 때문에, 국회의 많은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민주당 지도부는 사전 환담 및 시정연설에 참석해 윤 대통령과 악수를 하기도 했다. 지난해 야권에 대한 전방위 수사·감사 등에 반발해 시정연설 자체를 '보이콧'하면서 윤 대통령과 이 대표의 사전 환담이 이뤄지지 못한 것과 대비된 모습이다.
다만 연설 직전 일부 민주당 의원들은 앞서 회의장 내 피켓금지 등 양당간 체결된 신사협정을 고려해 본회의장 밖에서 피켓 시위를 진행했다. 야권은 연설 직후에 '맹탕 연설'이라며 날 선 비판을 내놓기도 했다.
일각에서는 민주당의 시정 연설 참석에 대해 마지못해 하는 분위기를 감안해도 경색된 분위기가 다소 풀어졌다는 의견이 제기된다. 아울러 대통령이 먼저 민생 위기를 인정하고 회복을 위해 초당적 협력을 제안하면서 거부할 명분이 다소 애매해졌다는 주장이다.
윤 대통령은 시정연설에서도 여야가 대치중인 정부 예산안 항목에 대해 꼼꼼하게 설명하는 등 야당의 협조를 거듭 당부했다.
정치권에서는 내년 예산안 심사가 본격화된 가운데, 지난해에도 법정 시한인 12월 2일을 22일이나 넘겨 극적 타결된 만큼 합의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도 나온다. 여야는 삭감된 예산의 복원을 놓고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반면 내년엔 총선이 있는 만큼 야권으로서도 예산안 지연시 발목잡기 역풍에 대한 부담감도 상당할 것이라는 의견도 나온다. 또한 여야 모두 협치 목소리가 나오는 점도 예산안 적시 통과 가능성에 변수가 될 전망이다.
댓글 많은 뉴스
'30번째 탄핵' 野, 崔대행 탄핵소추 발의…'줄탄핵' 무리수 비판 거세 [영상]
전한길 "李대표 사법리스크 때문에 대한민국 법치·공정 무너져"
[속보] 헌재, 한덕수 총리 탄핵소추 '기각'…직무 복귀
이재명, 유발 하라리에 'K엔비디아' 언급…"공산주의자라 공격 받아"
'잠룡' 김부겸, 민주 '최상목 탄핵' 두고 "'몸조심하라' 부적절 발언 뒤이은 무리한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