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지도부와 혁신위원회가 반목을 거듭하며 양보 없는 대치를 이어가자 결국은 당이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가는 것이 아니냐는 전망에 나온다.
혁신위의 연이은 쇄신요구에도 묵묵부답으로 일관하고 있는 지도부로 어떻게 내년 총선을 치를 수 있겠느냐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인요한 혁신위원장이 여당의 제1호 당원인 윤석열 대통령의 의중을 거론하면서 지도부를 압박하고 나서자 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여당 재편작업에 시동이 걸린 것이 아니냐는 분석까지 나온다.
인 위원장은 15일 YTN 라디오에 출연해 "한 열흘 전에 제가 여러 사람을 통해서 (대통령을) 뵙고 싶다고 했는데, 대통령으로부터 직접 연락이 온 건 아니고 돌아서 온 말씀이 '만남은 오해의 소지가 너무 크다. 그냥 지금 하는 것을 소신껏 끝까지 당과 우리에게 필요한 것을 거침없이 하라'는 신호가 왔다"고 말했다.
'지도부·텃밭중진·윤핵관 총선 불출마 또는 수도권 험지 출마' 권고 등 혁신위의 잇따른 제언에도 당내 기득권이 꿈쩍하지 않자 대통령의 의중을 강조한 것이다.
여당 관계자는 "서울시 강서구청장 보궐선거 참패가 여당에 '약'이 되려면 적어도 현재 국민의힘 지도부처럼 운신해서는 안 된다"며 "인요한 위원장의 파격 행보로 모처럼 당에 생기가 돌고 있기 때문에 양측의 힘겨루기에서 혁신위가 우세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특히 김기현 대표가 당 안팎의 비판을 의식해 혁신위의 제안을 늦게라도 수용할 수 있지만 '비난 여론에 만신창이가 된 당의 간판으로 무슨 총선이냐'는 지적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당내에선 내년 총선을 겨냥한 여당 재편작업이 시작된 것이라는 얘기까지 나온다. 결국엔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의 전환 등을 통해 윤 대통령이 당에 대한 영향력을 더욱 공고히 하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정치권 관계자는 "총선 결과에 따라 정치적 운명이 갈리는 윤 대통령이 여당에 대한 '그립'을 더욱 강하게 쥘 가능성이 크고 친정체제 강화를 위한 비상대책위원회 구성이 그 첫걸음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여당에 비상대책위원회가 들어선다면 인적구성은 비정치인이 중심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기성정치에 대한 국민들의 불신을 에너지로 국정최고책임자 자리까지 오른 윤 대통령이기 때문에 여당 비상대책위원회 구성도 '탈 기성정치'의 모양새를 갖출 것이라는 설명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한 총리 탄핵 기각에 "국민이 납득할지 모르겠다"
아이유, 대구계산성당·칠곡가실성당 2곳서 결혼?…TK 천주교 명소 알리는 '폭싹 속았수다'
전한길 "李대표 사법리스크 때문에 대한민국 법치·공정 무너져"
[속보] 헌재, 한덕수 총리 탄핵소추 '기각'…직무 복귀
이재명, 유발 하라리에 'K엔비디아' 언급…"공산주의자라 공격 받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