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IMF, 올해 한국 물가상승률 3.6%로 상향 조정…"고금리 기조 유지해야"

중국 경제 회복 반영 시 상향 가능성도

17일 국제통화기금이 올해 한국의 물가상승률을 3.6%로 예측했다. 매일신문 DB.
17일 국제통화기금이 올해 한국의 물가상승률을 3.6%로 예측했다. 매일신문 DB.

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와 내년 한국의 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상향 조정했다.

17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IMF는 '2023년 한국 연례협의 보고서'를 통해 올해 한국의 물가 상승률을 3.6%로 예상했다. 이는 지난달 '세계경제전망'에서 발표한 3.4% 대비 0.2%포인트(p) 상향 조정한 수치다. 또 내년 물가 상승률 전망치도 2.3%에서 2.4%로 0.1%p 상향했다. 최근 고유가 상황 등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이 보고서는 지난 8월 말 헤럴드 핑거 IMF 미션단장 등이 한국을 방문, 기재부와 한국은행 등과 면담을 한 뒤 작성됐다. IMF는 해마다 회원국의 경제 상황을 전반적으로 점검한 뒤 정책을 권고하는 보고서를 내고 있다.

IMF는 물가 상승세가 이대로 둔화해 내년 말이면 한은의 물가 안정 목표인 2%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된다.

또 IMF는 보고서를 통해 현재 한국의 고금리 기조는 상당 기간 유지하는 것이 물가 안정에 있어 중요하다고 권고했다.

성장률은 지난 10월 발표한 전망치를 유지했다. IMF는 올해와 내년 각각 1.4%, 내년 2.2%의 성장률을 전망했다. 올해 하반기 기점으로 반도체 수출이 개선되고 관광 산업의 회복 등에 힘입어 점진적으로 반등한다고 본 것이다.

다만, 중국의 경제 회복세는 반영하지 않은 상황이다 보니 큰폭으로 성장할 가능성도 남아있다. IMF는 최근 중국 경기 부양책 등을 고려해 중국 올해 성장률을 5.0%에서 5.4%로 조정했고, 내년 성장률도 4.2%에서 4.6%로 상향 조정했기 때문이다.

경상수지 흑자 규모도 올해 국내총생산(GDP) 대비 1.3% 수준에서 점차 개선해 4.0% 수준으로 회복할 것으로 내다봤다.

IMF는 올해부터 한국 외환보유액의 적정성 평가 시 정량평가를 제외한 정성평가로만 판단하겠다고 밝혔다. IMF는 한국의 외환보유액의 경우 외부충격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는 수준이라는 정성평가 결과를 내놨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