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의 사퇴로 그를 지근 거리에서 보좌했거나 일찍부터 측근으로 불리며 김 대표 체제를 도왔던 인사들이 '불똥'이 튈까 노심초사다. 덩달아 책임론에 휩싸여 공천 국면에서 혹시나 불이익을 받지 않을까 속앓이를 하고 있는 것.
13일 김기현 체제의 지명직 최고위원과 정책위의장, 사무총장 등 임명직 당직자는 일괄사퇴 의사를 표명했지만 당 대표 권한대행을 맡은 윤재옥 원내대표는 이를 일괄 반려했다. 윤 권한대행은 " 새 지도부가 구성될 때까지 계속 업무 수행을 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김 전 대표를 지근거리서 보좌했던 이가 구자근 의원(구미갑)이다. 대표 비서실장이니 책심 측근이다. 또 전당대회 때부터 적극적으로 지원에 나섰던 김승수 의원(대구 북구을)도 측근으로 분류된다.
아울러 김 전 대표가 내부 공세에 시달릴 때마다 이에 맞서 김 전 대표를 적극적으로 비호했던 초선 의원들도 적지 않다. 지역에서도 강대식(대구 동구을), 김영식(구미을), 김승수, 윤두현(경산) 의원 등은 김 전 대표 사퇴와 비상대책위원회 출범을 주장하며 목소리를 높였던 서병수·하태경 의원을 향해 강력한 비판을 쏟아낸 바 있다.
김석기 최고위원(경주)과 이만희 사무총장(영천청도)도 비교적 최근에 임명돼 직책을 수행한 지 얼마 지나지 않은 상태지만 김기현 체제의 한 축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김석기 최고위원은 김 대표 사퇴론이 불거지자 최고위원회의에서 "대안 없는 당 지도부 흔들기를 멈춰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이만희 사무총장 역시 김기현 체제의 핵심 요직을 맡아 김 대표 사퇴와 무관하지는 않을 전망이다.
그러나 당내에서는 당 대표가 모든 책임을 지고 사퇴한 만큼 연대 책임론은 불가하다는 반론이 더 강하다.
한 당직자는 "당이 연대책임론으로 내분으로 빠질 경우, 총선을 앞두고 당 개혁에 나선다는 명분이 흔들린다. 또 비대위 구성도 못한 상황에서 당의 단합이 깨질 수 있다. 비대위원장이 선임되면 빠르게 당 단합론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김민웅 "北, 세계정세의 게임 체인저"…주진우 "金, 보수 살릴 게임 체인저"
이진숙 "머리 감을 시간도 없다던 최민희…헤어스타일리스트 뺨칠 실력"
장예찬 "강유정 포르쉐가 장동혁 시골집보다 비쌀 것"
한미 관세 협상 타결…현금 2천억+마스가 1500억달러
"이재명의 승리" "역사적 업적"…관세협상 타결에 與 칭찬세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