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도시철도 전 호선 91개 역에 자동안전발판과 고정안전발판 863개가 설치돼 운영 중이다.
대구교통공사는 열차와 승강장안전문 틈새 발빠짐 사고를 막고자 승강장과 열차 간 간격이 좁고 곡선으로 이뤄진 곳에는 열차 도착 시 펼쳐지는 자동안전발판을 설치하고, 나머지 역사에는 고정안전발판을 설치했다고 26일 밝혔다.
서부정류장·명덕·만촉역 등 3개 역사에는 자동안전발판 33개를 설치했고 나머지 역사에는 고정안전발판 830개를 설치해 발빠짐 사고를 예방하고 있다.
공사는 또 카카오톡 챗봇을 통해 교통약자를 위한 역별 연단간격 정보도 제공하고 있다. 연단 간격이 좁은 출입문으로 미리 이동하면 편리하고 안전하게 승·하차 할 수 있다.
발빠짐 주의 안내방송을 듣지 못하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안전대책도 마련됐다. 승강장연단부에 LED경광등시스템을 자체 개발해 지난해 9월 송현역과 용산역에 시범 설치했다.
LED경광등시스템은 열차를 내리고 탈 때 빛을 내 주의를 환기시키는 방식이다. 공사는 올 연말에 대실역에 LED경광등시스템을 추가 설치하는 등 점차 확대할 예정이다.
김기혁 대구교통공사 사장은 "승객 안전을 최우선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발빠짐 사고 예방을 위해 어린이나 유아를 동반하는 승객들께서는 안전에 유의해 주시길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