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시연(蓮)〉
철없는 바람은 언제나 불안하다
그리고 그 불길한 예감은 적중했다
약속 장소에 그 아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봄 가물어 설 여문 햇살은 닫힌 문을 열지 못한다
붉은 색등은 거미알 쓸어놓은 둣
암호 같은 지도만 그려 놓았고
따뜻한 불빛 차단된 방은
부풀다 만 별똥별의 부스러기 뿐이었다
세상의 푸른 신호등은 이 외진 방을
찾지 못하는 건지 외면하는 건지
둥지에서 버려져 어두운 곳을 배회하는 아이
꽃잎이 뜯겨 아픔은 남을지라도
스스로 일어나 날갯짓할 것을

<시작 노트>
8월이면 진흙 속에서 가시투성이 잎을 뚫고 신기하게도 꽃대를 밀어 올리는 가시연꽃을 볼 때마다 어른들에게 보호받지 못하고 거리를 방황하던 아이들을 생각한다. 청소년 보호관찰 위원직으로 봉사 활동을 하면서 나와 인연을 맺은 아이들 중 작고 예쁜 아이가 도주해 버렸다. 몇 명 팀을 짜 밤낮으로 찾아다니면서 세상 가장 어두운 곳을 목격했다. 나는 지금도 꿈속에서 가위에 눌리곤 한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