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가 초대형 산불과 병해충 확산으로 발생한 대량의 산림 부산물을 재생에너지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 마련에 착수했다. 버려지던 목재 부산물을 지역 내 열·전기 자원으로 전환해 에너지 자립형 순환 시스템을 구축하겠다는 게 도의 설명이다.
13일 경북도에 따르면 '산림바이오매스 발전소 조성 기본계획' 착수보고회 및 시·군 설명회를 지난 12일 열고, 시군 관계자와 산림·에너지 분야 전문가 등과 함께 사업 추진 방향과 입지 검토 계획을 공유했다.
이번 사업은 지난 3월 초대형 산불로 큰 피해를 입은 5개 시·군을 중심으로 ▷발전소 입지의 타당성 ▷자원 공급 가능성 ▷주민 수용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열병합발전(CHP)을 기반으로 한 순환형 에너지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추진된다.
도는 산불 피해목을 비롯해 숲가꾸기 부산물, 병해충 피해목 등 미이용 산림바이오매스를 수거해 연료로 전환하고, 이를 지역에서 직접 생산·소비하는 '에너지 자립형 산촌 모델'로 확산해 나갈 방침이다.
사업이 완료되면 도내에서 매년 수십만톤(t)씩 발생하는 산림 부산물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동시에, 지역 내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선순환 체계가 구축될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로 지난해 경북에서 발생한 산림 부산물은 약 14만7천㎥로, 2년 전보다 두 배 이상 증가했다. 미이용 산림바이오매스도 2019년 4만3천t에서 지난해 45만4천t으로, 5년 새 10배 넘게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도는 이처럼 해마다 늘어나는 산림 부산물을 에너지원으로 전환해 산림 재해지의 자원 순환과 지역경제 회복에 행정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아울러 산림에너지 자립마을 모델을 정착시키고, 저탄소 순환경제 실현을 위한 후속 조치에도 본격 나설 예정이다.
조현애 경북도 산림자원국장은 "이번 산림바이오매스 발전소 조성 사업은 산불로 상처 입은 숲을 다시 지역의 자산으로 되살리는 전환적 시도"라며 "산림이 가진 잠재 에너지 가치를 활용해 지속 가능한 지역 에너지 자립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백종원 갑질 비판하던 저격수의 갑질…허위 보도하고 나 몰라라
與 진성준 "집값 안 잡히면 '최후수단' 세금카드 검토"
'곳간 지기' 했던 추경호 "李대통령 배드뱅크 정책 21가지 문제점 있어"
채무탕감 대상 중 2천명이 외국인…채무액은 182억원 달해
李정부, TK 출신 4인방 요직 발탁…지역 현안 해결 기대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