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 현장 노령화가 심화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60대 이상 건설기술인 수가 40대 보다 더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22일 한국건설인정책연구원이 한국건설기술인협회에 등록된 건설기술인 103만5천724명(2월 기준) 가운데 27만7천432명은 60대 이상이다. 이는 40대(25만8천143명)를 훌쩍 넘는 수다.
지난 2020년 연구원이 연령별 현황을 분석하기 시작한 뒤 처음으로 60대 이상 건설기술인 수가 40대를 앞지른 것이다.
지난해 12월 조사에서는 40대(27만4천728명)가 60대 이상(25만789명) 건설기술인 수보다 많았다.
20~30대 젊은 건설기술인 유입이 줄어든 데다, 50대였던 건설기술인들이 나이가 들면서 60대 비중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20대 건설기술인은 전체 3.2%(3만3천211명)에 불과하다. 30대도 12만2천507명에 그쳤다.
이에 반해 50대는 33만4천230명에서 34만2천934명으로 2.6% 늘어났다. 전체 건설기술인 가운데 50대 이상은 총 62만366명(59.9%)에 이른다.
건설기술인 평균 연령도 52.2세로 조사됐다. 건설기술인 평균 연령은 지난 2018년 47.7세에서 지속 상승해 2023년 50세를 넘었다.
건설 현장에서도 고령화가 실감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외국인이 아니면 젊은 사람을 보기 어렵다며 "요즘은 50대도 젊은 축에 속한다"고 털어놨다.
댓글 많은 뉴스
"제대로 했으면 출마도 못해" "권력에 무릎"…'李재판 중단'에 국힘 법원 앞 집결
노동계, 내년 최저임금 '1만1500원' 요구…14.7% 인상
대북 확성기 중단했더니…북한도 대남 소음 방송 껐다
박홍근 "정당법 개정안 통과시켜 국민의힘 해산시켜야"
대통령실 "청와대 복귀에 예비비 259억원 책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