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산불 등 재난 상황에 신속 대응하고 공항 조류 충돌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첨단 기술 기반의 소방·조류 대응 드론 개발에 나선다.
국토교통부는 25일 "고중량 소방드론과 공항 조류퇴치용 인공지능(AI)드론 개발을 통해 국내 기술 기반의 실증과 상용화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최근 초대형·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는 산불에 다양한 대응 수단 필요성이 대두했다. 이에 정부는 야간에 헬기 출동이 어려운 상황에 사람의 접근이 곤란한 지역의 잔불 진화에 효과적으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고중량(100㎏ 이상) 탑재 가능한 소방 특화 드론 개발을 추진한다.
국토부는 소방 특화 고중량 드론 개발에 2027년까지 모두 115억원을 투입할 계획으로, 올해에만 70억원을 집중 투입한다. 외국에서 상용화된 고중량 드론을 우선 도입하고, 이를 기반으로 국산화 기술개발도 병행할 방침이다. 국내 기술로 개발된 고중량 드론은 향후 관계 부처 현장 실증을 실시하고, 국토부 기체 인증을 거쳐 현장에 투입될 수 있다.
공항 조류 대응 AI드론 개발은 내년까지 총 50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올해 공모를 통해 30억원 규모 예산으로 개발을 시작한다. 개발되는 드론은 공항 주변 4㎞ 이내 조류를 탐지하고, 조류 활동 패턴을 분석해 감지·추적·퇴치가 가능한 다수의 군집 비행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예정이다. 드론에는 다양한 임무 장비를 탑재할 수 있다 레이더 및 영상 인식 기술을 융합한 지능형 AI 알고리즘을 통해 조류 위험을 사전에 감지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개발한다.
아울러 공항 주변 조류 충돌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AI 기반의 군집 드론 기술을 적용한 조류 대응 드론 시스템을 개발해 공항 안전체계를 강화할 예정이다.
이번 사업은 항공안전기술원 주관으로 진행하는 '드론 상용화 지원사업' 공모를 통해 추진한다. 공고는 26일부터 7월 4일까지 40일간 진행한다. 이후 서류 및 발표 평가를 거쳐 7월 중 최종 사업자를 선정하고 본격적으로 사업에 착수할 계획이다. 자세한 사항은 드론정보포털(www.droneportal.or.kr)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기훈 국토부 첨단항공과장은 "최근 발생한 여러 재난 상황에서 활용될 드론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며 "첨단 기술이 적용된 소방드론과 공항 조류 대응 AI드론 개발을 통해 국민 안전을 한층 강화하고, K-드론 국산화 기술개발을 통해 드론산업 활성화도 도모해 나가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국힘 "75% 사수" 민주 "30% 돌파"…TK서 대선 승패 갈린다
대구과학관 내부 성범죄 묵인…'재워주겠다' 발언에 신체 접촉까지
민주당 압박에 '흔들리는 법원, 무너지는 검찰'…내부선 "스스로 지켜야" 목소리
김문수·이준석, 단일화 '1차 시한' 넘겨…앞으로 지지율이 변수
김미애 "이재명 'HMM 부산 이전 공약' 철회, 부산시민께 사과해"…민주 "공약대로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