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EU-美 '50% 관세' 유예 합의…협상 새 국면 진입

트럼프, 부과 시점 7월 9일로 연기…EU, 타결 노력 강화
마크롱 "진전되고 있어"…각국도 조속한 합의 촉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3일(현지 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원자력 에너지 관련 행정명령에 서명한 후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던 중 전화벨이 울려 스마트폰을 들여다보고 있다. A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3일(현지 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원자력 에너지 관련 행정명령에 서명한 후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던 중 전화벨이 울려 스마트폰을 들여다보고 있다. A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유럽연합(EU)에 대해 예고했던 50% 고율 관세의 발효 시점을 7월 9일로 연기하면서, 양측의 통상 협상이 새로운 전기를 맞았다.

26일(현지시간) EU는 미국과의 고조된 무역 갈등을 완화하기 위해 외교적 접촉을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날 마로시 셰프초비치 EU 무역·경제안보 집행위원은 미국 상무장관 및 무역대표부 대표와 전화통화를 하고, "건설적이고 집중적인 협상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이번 통화는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이 직접 트럼프 대통령에게 관세 유예를 요청한 직후 이루어진 것으로, 정상 간 소통이 실질적인 진전을 이끌어냈다는 평가가 나온다.

EU 측은 당초 트럼프 대통령이 6월 1일을 기준으로 관세를 강행하겠다는 입장을 밝히자, 이에 대응해 미국과의 대화를 통해 일정 연기를 이끌어냈다. 이에 따라 미국의 관세 부과 시점은 약 한 달 뒤로 미뤄지며 협상 여지가 확대됐다.

EU 집행위는 이날 정례 브리핑을 통해 "양측 정상은 협상 속도를 높이기로 합의했고, 이후에도 긴밀한 접촉을 지속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다만 통화의 구체적인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다.

EU는 이미 무관세 확대와 미국산 에너지·무기·농산물 수입 확대를 골자로 하는 제안을 미국에 전달한 상태다. 추가적인 양보 가능성에 대해서는 '협상 중'이라는 이유로 말을 아꼈다. 집행위는 다만 기존 EU법 체계를 근본적으로 흔드는 안에 대해서는 수용이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한편 미국은 자국이 설정한 기본관세율을 관세 협상의 기준점으로 간주하고 있어, 양측의 조율에는 여전히 난항이 예상된다. 미국이 요구하는 보편관세 10% 유지안 역시 EU에선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분위기다.

EU 주요 회원국들도 타결을 촉구하고 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베트남 하노이에서 기자들에게 "양측의 논의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며 "가능한 한 낮은 관세율로 상호 이익이 되는 무역을 희망한다"고 밝혔다. 독일 경제장관도 "앞으로 6주 동안 해법을 찾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며 적극적인 협상 의지를 드러냈다.

양측은 일단 고조된 갈등을 봉합했지만, 실질적인 합의까지는 아직 과제가 남아 있다. 7월 9일이라는 시한 속에서 EU와 미국의 무역 협상이 어떤 결론에 이를지 주목된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