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로봇이 걷는 건물' 첫발…대구·포항에 스마트+빌딩 실증 착수

계명대 동산의료원·포항터미널서 로봇 친화형 건축기술 실증
설계·시공부터 운영·관제까지 로봇 통합 건축 기술 개발

로봇 친화형 건축물 핵심기술 개발 개요. 2025.5.28. 국토교통부 제공
로봇 친화형 건축물 핵심기술 개발 개요. 2025.5.28. 국토교통부 제공

정부가 인공지능(AI)과 로봇 등 첨단기술을 품은 차세대 건축물, 이른바 '스마트+빌딩' 기술 개발에 착수한다. 로봇이 건축물 내에서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설계·시공·운영 전반에 걸친 기술을 개발하고, 대구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과 경북 포항터미널에서 실증을 통해 향후 도심항공교통(UAM)·자율주행차와의 연계 기반까지 마련한다는 구상이다.

국토교통부는 28일 "스마트+빌딩 핵심기술 개발의 첫 단계로 '로봇 친화형 건축물 설계·시공 및 운영·관리 기술개발' 사업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올해부터 2028년까지 180억원을 투입해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컨소시엄과 함께 연구개발(R&D)을 추진한다.

스마트+빌딩은 로봇, UAM, 자율주행차 등 미래 기술이 원활히 작동할 수 있는 공간·구조·설비를 갖춘 미래형 건축물 개념이다. 국토부는 2023년부터 산·학·연 83개 기관이 참여한 '스마트+빌딩 얼라이언스'를 운영하며 관련 로드맵을 수립했다.

이번에 착수하는 로봇 친화형 건축 기술은 ▷설계·시공 기술 개발 ▷다수·다종 로봇 지원을 위한 운영·관리 기술 ▷실증 및 제도개선 등 3개 분야로 구성된다. 우선 재실자-로봇 행동기반 시뮬레이션 및 설계 자동화 기술을 개발하고 설계 의도가 정확히 구현될 수 있도록 건축 재료·시공 기준도 마련한다. 여기에 다양한 로봇이 원활히 이동할 수 있도록 건축물 실내 공간지도 구축과 측위 기술, 개방형 관제 플랫폼도 개발한다.

기술 실증은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포항터미널 ▷서울 강동경희대학교병원 등 로봇을 실제 활용 중이거나 유동인구가 많은 세 곳에서 수행한다. 실증 결과는 향후 기술 표준화와 인증제도 도입을 위한 제도개선으로 이어질 방침이다.

국토부는 주기적으로 R&D 성과를 점검하고, 얼라이언스를 중심으로 하는 기술 분야별 민간 전문가 자문을 통해 로봇·UAM·자율주행 등 분야별 연구성과가 실제 현장에 적용되도록 할 방침이다.

문석준 국토부 건축정책과장은 "국민이 하루 20시간을 보내는 건축물을 보다 스마트하고 편리하게 탈바꿈하기 위한 기술개발을 속도감 있게 추진해 나가겠다"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