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캐나다 앨버타주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16일 출국한다. 이 대통령 해외 무대 데뷔이자, 지난해 12월 비상계엄 이후 6개월 이상 멈췄던 대한민국 정상외교의 복귀이다. 대통령실은 현재 이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및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의 정상회담 일정을 각각 조율(調律) 중이다. 또 G7 '확대 정상회의' 세션 참석을 비롯해 G7 회원국을 포함한 주요국 정상들과 양자 회담도 추진하고 있다.
이번 G7 정상회의는 이 대통령 취임 직후 열리는 만큼 준비에 어려움이 많았을 것이다. 그렇더라도 이 대통령의 G7 회의가 주요 서방 국가 정상들과 '인사'를 나누는 수준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 미국과 일본은 이 대통령의 외교·안보 정책에 의구심(疑懼心)을 갖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한미일 중심에서 벗어나 친중-친북-친러로 흐르지 않을까 예의 주시하는 것이다. G7 정상회의 참가 기간 이 대통령은 이재명 정부의 외교·안보 정책이 굳건한 한미 동맹과 빈틈없는 한미일 협력 속에서 펼쳐질 것이라는 확신을 자유 민주 진영에 심어 줄 필요가 있다.
글로벌 경제 안보 대전환 속에서 G7 회의는 미국과 관세 협상 등 당면한 외교 및 경제 통상 현안을 푸는 실마리를 찾고, 이재명표 실용 외교가 첫 출발하는 기회가 되어야 한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도 G7 회의에 참석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에 한국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한 논의도 추진되기 바란다.
24~25일에는 네덜란드에서 나토(NATO) 정상회의가 열린다. 대통령실은 참석 여부를 고민하고 있다고 한다. 국무위원 및 대통령실 참모진 인선(人選)도 마무리되지 않았고, 중국과 러시아의 따가운 시선도 있지만, 나토 회의에도 이 대통령이 참석하는 것이 국익에 부합한다고 본다. 다자외교를 통해 방산·원전 수출을 논할 수 있고, 대한민국이 자유 민주 진영의 이익과 안전을 위해 공동 대응하고 있음을 명백히 보여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가수 영탁, FC바르셀로나 대구경기 시축+축하공연 확정…대구스타디움 뒤흔든다
李대통령, 8·15 광화문서 '국민 임명식' 진행…尹 부부 제외 전직 대통령들 초대
경찰, 이철우 경북도지사 관사 압수수색…"결코 좌시하지 않겠다"
한동훈, 당대표 후보 검증 나선 전한길 두고 "진극 감별사"…김문수·장동혁 향해선 "'극우 없다'면서 줄서기"
李대통령, 과한 수사 제동…李경북도지사 첫 사례 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