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토류를 비롯한 전략 광물 확보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가운데 중국이 해외 광산 매입에 속도를 내고 있다.
6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S&P와 머저마켓 데이터 분석 결과, 중국이 지난해 인수한 해외 광산 가운데 거래액인 1억달러(약 1천365억원) 이상인 광산은 10개에 달했다. 이는 2013년 이후 최대 규모다.
호주 그리피스 아시아연구소의 조사에서도 중국의 지난해 해외 광산 인수는 2013년 이후 가장 활발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추세는 올해에도 이어져 중국 쯔진 마이닝은 최근 카자흐스탄의 금광을 12억달러(1조6천386억원)에 인수하겠다고 발표했다. 바이인 비철금속그룹은 4월 영국 아피안으로부터 브라질의 구리·금광을 4억2천만달러(약 5천735억원)에 사들였다.
주요 광물의 최대 소비국인 중국은 장기간 해외 광산에 투자에 집중해왔다.
최근 광산 매입에 속도가 붙은 것은 희토류 중 중요 전략물자 확보에 있어 중국 의존도를 줄이려는 주요국의 움직임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미국과 유럽연합(EU) 주요국은 중국의 광산 투자에 대해 경계심을 높이고 있다.
사모펀드 아피안 캐피털 설립자 마이클 셰어브는 "중국이 지정학적 상황이 어려워지기 전에 많은 인수·합병을 성사하려 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중국의 광산 투자 확대는 첨단 제조업으로의 산업 전환과도 연관된다. 희토류, 리튬, 코발트 등 필수 광물 가공을 주도하면서 공급망을 틀어쥐고 있지만 원광물은 상당 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서다.
기업자문회사 SP엔젤의 존 마이어 분석가는 "중국이 자신들이 독점하고 있는 특정 중요 자원에서 서방을 적극적으로 배제하기 위한 거래를 하고 있다"며 "누군가 리튬 채굴에 근접할 때마다 중국이 수표 다발을 들고 달려온다"고 전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백종원 저격수'가 추천한 축제…황교익 축제였다
윤희숙 여의도연구원장, 국민의힘 새 혁신위원장
트럼프 '25% 관세' 압박에…한국, 통상+안보 빅딜 카드 꺼냈다
李대통령, 이진숙 국무회의 제외 결정…"공무원 중립의무 위반"
감사원 "이진숙 방통위원장 정치중립 의무 위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