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기술혁신과 경제성장, 국민 생명을 지키는 교통 대전환을 이끌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한국교통연구원은 10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새정부에 바란다, 국가 교통물류 정책 대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새 정부 정책기조와 교통 분야 주요 현안을 진단하고 정부가 추진해야 할 교통정책방향과 세부 추진 전략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마련됐다.
박경아 교통연구원 연구부원장은 기조발표에서 트렌드 변화에 따른 교통부문 이슈와 새정부의 교통공약 키워드를 분석해 ▷ AI·빅데이터 기반 모빌리티 전환 ▷균형발전에 기여하는 교통 사회간접자본(SOC) 추진 ▷포용적 성장을 지원하는 교통산업·서비스혁신 ▷국민생명을 지키는 교통안전 등을 4대 정책방향으로 제시했다.
박 부원장은 "새 정부가 인공지능 등 신산업의 전략적 육성을 주요 공약으로 내세운만큼,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하고 모빌리티 기술을 선도하기 위한 구체적인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주제발표에서는 4대 정책방향의 구체적인 배경과 추진전략을 제안했다.
김태형 교통연구원 모빌리티융합기술본부장은 'AI로 실현되는 미래 교통, 데이터로 연결되는 모빌리티' 발표에서 "AI·빅데이터 기술의 급격한 발전은 그간 해결이 어려웠던 교통문제를 새로운 방식으로 접근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다"며 교통혁신을 위한 국가차원의 AI 모빌리티 로드맵 수립을 강조했다. 특히 단편적인 기술 중심의 연구개발을 극복하기 위해 AI기술 개발-빅데이터-실증-거버넌스가 통합된 대규모 연구개발사업 추진과 AI 모빌리티 국가시범도시, 네트워크형 AI 모빌리티 국가 클러스터 구축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호 교통연구원 철도교통연구본부장은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 지역균형발전을 이끄는 교통 SOC 발표'에서 지난해 기준 수도권 지역내총생산(GRDP)이 53.3%로 비수도권과의 격차가 심화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신규 도로·철도망 계획 수립과 교통 SOC 인프라 노후화에 따라 관련 투자 규모가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하면서 강원 영월~삼척, 전남 완도~강진 고속도로 등 고속 간선기능 중심 국가도로망 완성, 지역 맞춤형 GTX 건설을 위한 법제도 마련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민연주 교통연구원 물류연구본부장은 '포용적 경제성장을 견인하는 교통물류산업 서비스 혁신' 발표에서 서비스 품질 저하, 디지털 전환 및 스마트화 부진, 인력부족 및 일자리 질 열악 등의 극복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극복 방안으로는 국민의 이동권 보장을 위한 교통정책 기본법 제정과 화물자동차 안전운임제 재도입 등 서비스 선진화 기반 마련, 수소열차 도입 및 철도물류 인프라 현대화 등 전환교통 지원사업 확대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우승국 교통연구원 교통안전방재연구팀장은 '국민 생명 지키는 나라를 위한 교통안전' 발표에서 연령별 교통사고 사망자 수 중 약 49%는 64세 이상의 고령자이며 비신호 교차로에서의 교통사고가 교차로 발생 교통사고의 65%를 차지한다고 분석했다. 지난 10여 년간 교통사고 사망자수는 46% 감소한데 비해, 부상자 수는 16% 감소하는데 그쳤다면서 교통사고 부상자 수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종합토론에는 오재학 전 교통연구원장을 좌장으로 이동민 대한교통학회 수석부회장, 김보라 동아일보 기자, 정채교 국토교통부 종합교통정책관, 김정희 CJ대한통운 TES물류기술연구소장, 송상석 녹색교통운동 정책위원장 등 각 분야 교통 전문가들이 토론자로 참석했다.
김영찬 교통연구원장은 "새정부의 교통정책은 단순한 인프라 개발 차원이 아닌, AI와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기술혁신과 국가 경제성장을 이끄는 대전환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면서 "이번 토론회가 국민이 행복한 진짜 대한민국을 견인할 수 있는 새정부의 교통정책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진숙·강선우 감싼 민주당 원내수석…"전혀 문제 없다"
李대통령, 이진숙 국무회의 제외 결정…"공무원 중립의무 위반"
[사설] 민주당 '내란특별법' 발의, 이 대통령의 '협치'는 빈말이었나
[홍석준 칼럼] 우물안 개구리가 나라를 흔든다
첫 회의 연 국민의힘 혁신위, "탄핵 깊이 반성, 사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