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배당소득이 2023년 30조원을 넘어서며 10년 전과 비교해 두 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체 배당소득의 절반 가까이를 소득 상위 0.1%가 독식했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차규근 조국혁신당 의원은 19일 국세청 자료를 토대로 "2023년 기준 국민 1천746만4천948명이 모두 30조2천184억원의 배당소득을 신고했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소득 상위 0.1%에 해당하는 1만7천464명은 총 13조8천842억원을 신고해 전체 배당소득의 45.9%를 차지했다. 이들의 1인당 평균 배당소득은 7억9천502만원에 달했다.
반면 하위 50%에 해당하는 873만2천474명의 전체 배당소득은 1천63억3천800만원으로, 1인당 평균 1만2천177원에 불과했다. 상위층과 하위층 간 배당소득 격차가 6만5천배에 이르는 셈이다.
10년 전인 2014년과 비교하면 배당소득 규모는 2배 가까이 늘었지만, 최상위층 집중 현상은 여전했다. 2014년 상위 0.1%에 해당하는 8천429명이 전체 배당소득(12조3천895억원)의 47.5%인 5조8천796억원을 차지했다.
차 의원은 "배당소득이 상위 극소수 자산가에게 집중된 것"이라며 "최근 국회 일각에서 논의되는 배당소득 분리과세가 도입될 경우 최상위 자산가들에게 혜택이 집중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현행 소득세법은 연 2천만원까지 금융소득(배당·이자)에 15.4% 세율로 원천징수하지만, 2천만원을 초과하면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에 포함해 최고 49.5%의 누진세율을 적용한다. 배당소득을 따로 떼어내 분리과세하면 세 부담이 그만큼 줄어들게 된다.
차 의원은 "박근혜 정부 당시 배당소득 증대세제 도입 효과를 분석했던 한국조세재정연구원 연구결과를 보면 '실질적인 정책적 효과는 미미하고 세수 손실을 수반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지적한 바 있다"고 했다.
그는 또 "실질적 수혜자 역시 지분율이 높은 고소득층이나 기업의 대주주들에게 집중됐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명시한 바 있다"며 "배당소득 분리과세로 배당이 늘어날 것인지는 불분명한 반면, 그 혜택이 총수 일가 등 최상위 자산가들에게 돌아갈 것은 명확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차 의원은 "제도 도입에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김상욱, '소년 이재명 성범죄 가담' 주장 모스탄에 "추방해야"…이진숙 자진사퇴도 요구
특검 압수수색에 권성동 "야당 탄압"…野 "국회의장 메시지 내라"
"전작권 전환, 초기 비용만 35조원"…국힘 '정부 국방정책 점검 토론회'
'성남도시개발공사 조례 청탁' 김만배, 대법서 무죄 확정
李 대통령, 이태원 참사에 "검경 참여 사건 조사단 편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