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배당소득이 2023년 30조원을 넘어서며 10년 전과 비교해 두 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체 배당소득의 절반 가까이를 소득 상위 0.1%가 독식했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차규근 조국혁신당 의원은 19일 국세청 자료를 토대로 "2023년 기준 국민 1천746만4천948명이 모두 30조2천184억원의 배당소득을 신고했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소득 상위 0.1%에 해당하는 1만7천464명은 총 13조8천842억원을 신고해 전체 배당소득의 45.9%를 차지했다. 이들의 1인당 평균 배당소득은 7억9천502만원에 달했다.
반면 하위 50%에 해당하는 873만2천474명의 전체 배당소득은 1천63억3천800만원으로, 1인당 평균 1만2천177원에 불과했다. 상위층과 하위층 간 배당소득 격차가 6만5천배에 이르는 셈이다.
10년 전인 2014년과 비교하면 배당소득 규모는 2배 가까이 늘었지만, 최상위층 집중 현상은 여전했다. 2014년 상위 0.1%에 해당하는 8천429명이 전체 배당소득(12조3천895억원)의 47.5%인 5조8천796억원을 차지했다.
차 의원은 "배당소득이 상위 극소수 자산가에게 집중된 것"이라며 "최근 국회 일각에서 논의되는 배당소득 분리과세가 도입될 경우 최상위 자산가들에게 혜택이 집중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현행 소득세법은 연 2천만원까지 금융소득(배당·이자)에 15.4% 세율로 원천징수하지만, 2천만원을 초과하면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에 포함해 최고 49.5%의 누진세율을 적용한다. 배당소득을 따로 떼어내 분리과세하면 세 부담이 그만큼 줄어들게 된다.
차 의원은 "박근혜 정부 당시 배당소득 증대세제 도입 효과를 분석했던 한국조세재정연구원 연구결과를 보면 '실질적인 정책적 효과는 미미하고 세수 손실을 수반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지적한 바 있다"고 했다.
그는 또 "실질적 수혜자 역시 지분율이 높은 고소득층이나 기업의 대주주들에게 집중됐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명시한 바 있다"며 "배당소득 분리과세로 배당이 늘어날 것인지는 불분명한 반면, 그 혜택이 총수 일가 등 최상위 자산가들에게 돌아갈 것은 명확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차 의원은 "제도 도입에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尹·김건희 특혜'라며 막은 '단독 접견'…조국은 29회
李대통령 "할일 많은데 임기 4년 9개월밖에 안 남아"
최교진 "성적 떨어졌다고 우는 여학생 뺨 때린 적 있다"
'尹 속옷 버티기' CCTV 결국 봤다…尹측 "공개 망신"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존폐 기로…9월 대구시의회 임시회 본회의 상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