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완성차 5개사가 올해 임금 및 단체협약(임단협) 협상에 돌입했으나, 노사 간 입장차가 뚜렷해 협상이 순탄치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의 25% 수입차 고율 관세 부과와 전기차 수요 둔화 등 대외 여건 악화가 맞물리며 경영 불확실성이 커진 점이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20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현대자동차, 기아, 한국GM, 르노코리아, KG모빌리티 등 국내 완성차 5사는 올해 임단협 교섭을 진행 중이다. 각사 노조는 기본급 인상과 성과급 지급 확대, 정년 연장, 근무제 개편 등 다양한 요구안을 제시하고 있다.
현대차 노조는 월 기본급 14만1천300원 인상과 순이익의 30%를 성과급으로 지급할 것을 요구했다. 상여금 상향과 직무 수당 신설, 주 4.5일제 도입 등도 요구안에 포함됐다. 기아 노조 역시 동일한 기본급 인상과 더불어 주 4일제 시행과 정년 연장을 요구 중이며, 성과급 기준은 영업이익의 30%로 설정했다.
한국GM의 경우 기본급 인상 폭과 성과급 규모를 두고 노사 이견이 좁혀지지 않으면서 지난 10일부터 부분 파업에 돌입했다. 노조는 성과급 4천136만원을 요구한 반면, 사측은 총 1천600만원을 제시한 상태다. 르노코리아는 성과급 400만원, 호봉제 부활, 임금피크제 폐지를 놓고 교섭을 이어가고 있으며, KG모빌리티 노조는 기본급 인상과 신차 격려금을 포함한 요구안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노사 협상이 길어질 경우 생산 차질에 따른 부담이 클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한국GM은 약 두 달간 부분 파업을 실시해 약 4만대의 생산 손실이 발생한 바 있다. 추석 전까지 5개사가 모두 임단협을 마무리한 사례는 2021년 이후 없다.
한국 자동차 산업의 대미 수출 부진도 지속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17일 발표한 '2025년 6월 자동차 산업 동향'에 따르면, 한국의 6월 대미 자동차 수출액은 26억9천만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16.0% 감소했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가 4월부터 전 수입차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대미 수출은 4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성남도시개발공사 조례 청탁' 김만배, 대법서 무죄 확정
전한길 "尹지지 후보 없으면 내가 당대표 출마"…입당후 논란 계속
특검 압수수색에 권성동 "야당 탄압"…野 "국회의장 메시지 내라"
'전한길 입당' 지적에 신동욱 "민주당도 김어준과 얘기, 친북도 품어"
李 대통령 굳건한 지지율 이유 1위는 '경제·민생'…국힘은 19% 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