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30대 그룹이 최근 10년간 5천억원 이상 규모로 인수·합병(M&A)한 기업 가운데 한화그룹이 인수한 한화오션의 경영 성과가 가장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리더스인덱스가 30대 그룹이 2015년 이후 인수한 20개 기업의 성과를 주주가치 측면에서 평가한 결과 대기업 집단 인수 이후 경영 성적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20개 기업의 총매출액은 인수 2년 전 33조9천550억원에서 인수 2년 후 47조6천249억원으로 40.3%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2조4천100억원에서 1조4천455억원으로 흑자 전환했다.
또 자기자본은 20조3천641억원에서 28조4천644억원으로 39.8% 늘었고, 자기자본이익률(ROE)도 -11.8%에서 5.1%로 흑자를 달성했다. 상장사인 11개 기업의 시가총액은 21조5천858억원에서 29조9천741억원으로 38.9%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매출액, 당기순이익, 자기자본이익률, 자기자본, 시가총액 등 5개 지표에서 모두 성장세를 보인 기업은 한화오션(옛 대우조선해양), SK머티리얼즈(옛 OCI머티리얼즈), 미래에셋증권(옛 대우증권) 3곳이다.
특히 한화오션의 경우 모든 지표에서 100% 이상의 성장률을 보였다. 한화오션의 매출은 인수 2년 전 4조4천866억원에서 인수 2년 후 10조7천760억원으로 140.2% 증가했다. 시가총액은 2조4천730억원에서 11조4천445억원으로 급증했다.
매출과 자기자본 성장률이 가장 높은 기업은 현대차그룹이 지난 2022년 인수한 자율주행 스타트업 포티투닷이다. 인수 2년 전 2천506만원이던 매출은 인수 2년 후 407억원으로 1천600배 증가했고, 자기자본도 246억원에서 2천710억원으로 약 10배 불어났다.
시가총액 증가율 1위는 하림그룹이 2015년 인수한 팬오션(옛 STX팬오션)이 차지했다. 이 회사의 시가총액이 1천568억원에서 2조1천295억원으로 1천257.6% 뛰었다.
최근 10년간 M&A 금액이 가장 큰 사례는 SK그룹이 2020년 인텔로부터 10조3천억원을 들여 사들인 낸드사업부(현 솔리다임)였다. 이어 삼성전자가 2017년 9조3천억원에 인수한 하만이 뒤를 이었다.
댓글 많은 뉴스
정부 관심 벗어난 '대구경북신공항'…TK 정치권 뭐하나
[단독] 허위 저격 논란 '백종원 저격수'… 과거 허위 방송으로 징계
한동훈 "尹 지키자는 세력은 극우 맞아…국힘 이러다 진짜 망해"
우상호 "강선우 임명 강행은 與 지도부 의견…대통령 고민 많이 해"
송언석, '입당 논란' 전한길 언행 조사 지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