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주민들이 미국과 한국을 중심으로 한 대북 선전매체들의 방송을 접할 기회가 현격하게 줄어들고 있다. 미국의 북한 전문매체 '38노스'는 21일(현지시간) 올해 초 대북 선전 라디오 방송량과 현재 방송량을 비교해 방송 시간이 하루 415시간에서 89시간으로 줄었다고 보도했다.
38노스에 따르면 미국 정부가 운영하던 미국의소리(VOA) 방송, 자유아시아방송(RFA) 등에 이어 한국 국가정보원이 운영하는 대북 라디오 방송까지 끊어지면서, 대북 선전매체 라디오 방송량이 80% 가까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연방 정부 조직 축소 차원에서 VOA, RFA를 관할하는 미국 글로벌미디어국(USAGM)의 기능 최소화 방안을 담은 행정명령을 올해 3월에 서명했으며, 이에 따라 두 기관은 사실상 해체 수순을 밟고 있다.
한국에서는 이재명 정부가 한반도 긴장 완화를 위한 각종 대북 화해 제스처를 취하는 가운데 이달 들어 국정원이 운영하는 것으로 추정된 희망의 메아리, 인민의 소리, K-뉴스, 자유 코리아 방송의 송출이 중단됐다. 올해 초 밤 11시에 운영되던 대북 선전 라디오도 11곳에 달했으나, 현재는 5곳만 남아있다.
해당 라디오 방송국이 사용하던 주파수 개수는 25개에서 6개로 줄었다. 결과적으로 북한 당국이 대북 선전매체 유입을 차단하기가 훨씬 수월해진 것이다. 현재 남아있는 대북 선전매체 가운데 대부분의 방송량은 KBS 한민족 라디오와 국방부가 운영하는 자유의 소리가 담당하고 있다.
또, 하루 30분만 방송하는 BBC 월드서비스와 대북 민간단체에서 하루 2∼3시간 정도만 운영되는 자유북한방송, 북한개혁방송, 민족통일방송 등이 남아 있다. 대북 민간단체 등에서 운영되는 방송들은 미국 민주주의진흥재단(NED)과 국무부 산하 민주주의·권리·노동국에서 지원받는데 양쪽 모두 트럼프 행정부가 폐쇄를 추진하고 있는 상황이다.
38노스는 "북한 노동당은 수십 년간 검열되지 않은 정보 유입과 싸워왔고 자신들의 행운을 믿기 어려울 것"이라며 대북 선전매체 방송량 급감을 '북한 정보전의 승리'라고 규정했다. 더불어 "한반도 상황이 악화하면 한미는 북한 주민과 직접적인 연결고리를 잃은 것을 후회하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댓글 많은 뉴스
정부 관심 벗어난 '대구경북신공항'…TK 정치권 뭐하나
[단독] 허위 저격 논란 '백종원 저격수'… 과거 허위 방송으로 징계
한동훈 "尹 지키자는 세력은 극우 맞아…국힘 이러다 진짜 망해"
우상호 "강선우 임명 강행은 與 지도부 의견…대통령 고민 많이 해"
송언석, '입당 논란' 전한길 언행 조사 지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