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미국 소고기값 역대 최고치…사육두수 감소·가뭄 여파 겹쳐

7월 17일 목요일, 미국 일리노이주 마운트 프로스펙트의 한 식료품점 선반 가장자리에 소고기 가격이 표시되어 있다. AP=연합뉴스
7월 17일 목요일, 미국 일리노이주 마운트 프로스펙트의 한 식료품점 선반 가장자리에 소고기 가격이 표시되어 있다. AP=연합뉴스

미국 소비자들 사이에서 한동안 진정세를 보였던 식료품 물가가 다시 출렁이고 있다. 달걀 가격이 안정세를 보인 반면, 이번에는 소고기 가격이 치솟고 있다.

21일(현지시간) CNN은 미국 내 소고기 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고 보도했다. 미국 농무부에 따르면 현재 소고기 소매가격은 파운드당 9.26달러로, 올해 1월 대비 약 9% 상승했다.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 기준으로는 스테이크 가격이 전년 동월보다 12.4%, 다진 소고기는 10.3% 각각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소고기 가격 급등의 배경에는 장기간 누적된 공급 감소 요인이 자리하고 있다. 미국농업인연맹(AFBF)은 현재 미국 내 소 사육두수가 74년 만에 최저 수준이라고 밝혔다. 수익성 악화로 인해 목장을 정리한 축산농가가 늘었고, 여기에 가뭄 장기화로 자연 방목이 어려워진 것도 가격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타이슨 푸드(Tyson Foods)의 도니 킹 최고경영자(CEO)는 지난달 콘퍼런스콜에서 "지금의 소고기 시장은 우리가 겪은 것 중 가장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고사료가 필요한 여건 속에서 생산비는 상승한 반면, 농가의 실질 이윤은 거의 없는 상태라고 AFBF 이코노미스트 번트 넬슨은 전했다.

한편, 미국 내 소고기 소비는 수입산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다. 웰스파고의 농업 애널리스트 마이클 스완슨은 "현재 미국 소고기 소비의 약 8%가 아르헨티나, 호주, 브라질산 수입육이 차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반면 미국산 소고기의 5월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2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AFBF의 넬슨 이코노미스트는 "과거 경험에 비춰보면 소고기 수요는 가계 사정이 나아질수록 늘고, 소득이 줄어들수록 감소했다"며 "지금처럼 소비자심리가 하락하고 가계 재정 상황이 불확실하면 가격이 치솟은 상태에서 소고기 수요는 위축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