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양국이 8월 1일 전까지 무역 합의를 하는 것을 목표로 협상에 들어간 가운데 한미 산업장관 간 이틀째 협상이 일단 종료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5일(현지시간) 뉴욕의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사저에서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이 러트닉 장관과 추가 협상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양국 산업장관은 24일 워싱턴DC 미국 상무부 청사에서 협상을 벌인 뒤 이날 뉴욕 러트닉 장관 자택으로 장소를 옮겨 이틀째 협상을 이어갔다.
우리 정부를 대표해 협상에 나선 김 장관은 25일 대통령실에서 진행된 통상대책 회의에서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24일 진행된 첫 협상보다 진전된 수정 제안을 제시하면서 대미 투자, 소고기·쌀을 포함한 농축산물 이슈 등 쟁점 분야에서 추가 접근을 시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이같은 수정 제안에도 러트닉 장관은 한국 측에 더 많은 양보를 요구해 협상 타결 수준까지는 접근하지 못한 것으로 관측된다.
통상 소식통은 "협상 결과를 바탕으로 내부 추가 협의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김 장관은 러트닉 장관과의 이날 추가 협의 결과를 본국에 보고했고, 대통령실은 전날에 이어 26일 비서실장 주재로 통상대책 회의를 열고 관세 협상 타결을 도출하기 위한 우리 측의 대응 방향을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김 장관은 이날 대통령실에서 정리된 우리 정부의 입장을 바탕으로 추가 협상에 나서는 방안을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당초 김 장관은 지난 25일 귀국 예정이었지만 협상 시한이 임박한 가운데 한미 간 막판 협상이 집중적으로 전개되고 있어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과 함께 현지에 남아 대미 협상을 총괄하는 방안도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김 장관은 전날 오후 더그 버검 백악관 국가에너지위원장을 만나 액화천연가스, LNG 등 에너지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회의에서 미국은 현재 추진하고 있는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등에 한국 기업의 적극적인 참여를 요청했고, 한국은 협력 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
댓글 많은 뉴스
"극우와 단호히 싸우겠다"…한동훈, 국힘 전당대회 불출마 선언
정부, 北 우라늄 폐수 조사 때 '핵심물질' 검사 빼먹었다
"준비된 대통령 맞나" "문전박대"…'한미 2+2 협의' 취소통보에 국힘 총공세
李 대통령, '이주노동자 지게차 결박'에 분노…"세계가 한국을 어찌 볼까"
韓美 외교 접촉 반복적 취소…트럼프의 의도적 밀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