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주요국 대사 무더기 공석, 대통령 인재풀 협애·빈약 의심할 수밖에

이재명 대통령의 인재풀이 수상하다 못해 불안하다. 내각은 국회의원 아니면 부적격자투성이다. 대다수가 자격 미달(未達)이거나 제대로 검증 안 된 인사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게다가 장관 지명자 절반 이상이 전·현직 국회의원으로, 전례를 찾기 힘들 정도의 규모다. '인재풀이 얼마나 빈약하면 의원들로 내각을 채우려고 하는가'라는 지적을 받을 만하다. 국제적 망신을 당한 2023년 새만금 세계 잼버리 대회 조직위원장이었던 의원을 국토교통부 장관으로 앉혀야 할 정도라면 충분히 짐작 가능하다. 이들 외에도 '막말 논란'의 중심에 서 있는 최동석 인사혁신처장 등 내각과 대통령실엔 인재풀을 의심할 만한 사례가 넘친다.

더 심각한 건 특사·대사(大使) 문제다. 이 대통령 취임 후 주요 국가 14개국에 파견한다고 구성한 특사단은 전·현직 국회의원 일색이다. 각국 주재 대사 동시 무더기 공석 사태는 더욱 가관이다. 취임 두 달이 다 되도록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 영국, 프랑스 등 주요 국가 대사를 임명 못 하고 있다. 전임 대통령이 임명한 주재 대사 등 특임 공관장 30여 명을 대책도 없이 귀국 조치한 뒤 공석 상태로 방치하고 있다. 특히 관세 협상을 앞둔 중차대한 시점에 주미 대사가 공석이라는 것은 치명적이다. 마땅한 인재가 없어 임명 못 하는 것도, 인사 검증 시스템이 제대로 돌아가지 않아 늦어지는 것도 다 문제다.

이 대통령의 능력은 취임 후 국민들로부터 인정을 받고 있는 바다. 그러나 국정(國政)은 대통령 한 명의 능력이나 개인기로만 운영할 수 있는 게 아니다. 아무리 뛰어나다 해도 발등에 불이 떨어진 국제 무역 협상을 앞두고 대안도 없이 대사를 돌연 귀국시킨 건 무슨 자신감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 "불시 단속에 저도 같이 가면 좋겠다." 이 대통령이 지난 29일 국무회의에서 고용노동부 장관에게 한 말이다. 지금은 이보다 "관세 협상에 저도 같이 가면 좋겠다"는 말이 더 필요하고 중요한 때다. 불시 단속은 장관에게 맡기고 인력풀 확충과 시급한 주요 인사 임명에 힘을 쏟아야 한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