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미국 사이의 관세협상이 31일 타결되면서 늦어지던 한미정상회담 일정도 윤곽을 드러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날 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합의된 관세협상 내용을 설명하면서 "(한국의 투자) 액수는 2주 내로 이재명 대통령이 양자 회담을 위해 백악관으로 올 때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용범 대통령비서실 정책실장도 이날 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마코 루비오 미 국무부 장관에게 '다음 주라도 날짜를 잡으라'고 했다고 한다"며 "곧 한미 외교라인을 통해 구체적 날짜와 방식 등을 협의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8월 중순을 전후해 정상회담이 열린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그동안 국익중심의 실용외교를 주창해 온 이재명 대통령의 외교역량이 본격적인 시험대에 오를 전망이다.
정상회담에서 다뤄질 의제들이 녹록지 않기 때문이다. 회담 결과에 따라서는 오히려 짐이 커질 수도 있기 때문에 꼼꼼한 준비가 필요하다는 주문이 이어진다.
구체적으로 정상회담에서는 통상협상의 세부 내용을 확정하는 등 후속 논의가 이뤄질 전망이다.
합의 이후 양국 간 설명이 미묘하게 차이를 보였던 타결 조건이나 그 해석 등을 두고 줄다리기가 벌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구체적으로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이 농산물 등 미국산 제품을 받아들이겠다고 합의했다'는 취지로 밝혔으나, 대통령실은 '농축산물 개방은 아니다'라고 설명하는 등 양국 간 미묘한 온도 차이가 나는 부분을 확실히 매듭지어야 한다.
무엇보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다른 상대국과의 협상을 발표하면서 즉석에서 협의 내용을 바꾸곤 한 것으로 알려진 만큼 유사한 상황에도 대비해야 한다.
또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주한미군의 정체성과 주둔비용 그리고 북한비핵화 문제와 관련해 그동안 파격적인 의중을 수차례 드러낸 점을 고려하면 두 정상의 만남에서 한반도의 군사적 안정과 관련해 우리가 원하는 결론을 이끌어내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당장 이 대통령으로서는 북미 대화의 장이 열릴 때 한국 정부의 목소리가 배제되지 않도록 역할을 할 공간을 확보하는 게 시급한 과제다. '소통은 미국과 하고 대한민국과의 대화는 봉한다'는 의미인 북한의 이른바 통미봉남(通美封南) 전략을 차단한 묘안도 필요하다.
더불어 3년 이상 임기를 남긴 트럼프 대통령과의 첫 만남이라는 점에서 정상 간 '케미'를 맞추는 일도 중요하다.
국민의힘 한 중진은 "미국 일각에서는 이 대통령이 중국에 편향된 것 아니냐는 의심을 거두지 않는 것으로 보이는 만큼 이에 대한 불식이 장기적인 관계 설정을 위해 필수"라고 주문했다.
댓글 많은 뉴스
정동영 "대북 민간접촉 전면 허용…제한지침 폐지"
李대통령, 과한 수사 제동…李경북도지사 첫 사례 되나
한동훈, 당대표 후보 검증 나선 전한길 두고 "진극 감별사"…김문수·장동혁 향해선 "'극우 없다'면서 줄서기"
트럼프 "한국 3천500억달러 투자…상호관세 25%→15%" [영상]
김윤덕 국토부 장관 후보자 "TK신공항도 TF 만들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