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의 올해 상반기 수출액이 567억달러를 기록하며 7분기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K-뷰티' 인지도 확산에 따른 화장품 수출 급증과 중고차 중심의 자동차 수출 호조가 전체 증가를 견인했다.
4일 중소벤처기업부가 발표한 '2025년도 상반기 중소기업 수출동향'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중소기업 수출액은 567억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0% 증가했다. 이는 2023년 4분기에 중소기업 수출이 증가세로 전환된 이후 7분기 연속 성장이다.
수출 중소기업 수도 7만8천655개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2% 늘어 역대 상반기 최고치를 기록했다.
품목별로는 화장품이 39억4천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9.7% 증가하며 가장 많은 수출액을 기록했다. 이는 역대 상반기 기준 최대 규모다. K-뷰티 인지도 확대로 미국과 중국 등 기존 주력시장뿐 아니라 아랍에미레이트(63.6% 증가)와 폴란드(160.5% 증가) 등 신흥시장 수요가 급증한 영향이다.
자동차 수출액은 39억2천만달러로 73.7% 급증했다. 중동 지역 등에서 높은 인지도와 가격 경쟁력을 바탕으로 중고차 수요가 늘어난 것이 주요 요인으로 분석됐다.
국가별로는 미국이 93억9천만달러로 1.1% 증가하며 1위를 차지했다. 화장품(13.8% 증가)과 전력용 기기(27.4% 증가) 등 기존 주력 수출품목이 강세를 보인 데다 관세율 상승 전망에 따른 사전 재고 확보 움직임도 영향을 미쳤다.
다만 미국 관세부과 대상 품목의 경우 품목별로 수출 변화 양상이 달랐다. 자동차 부품은 10.3% 증가한 반면 철강은 16.3%, 알루미늄은 3.4% 각각 감소했다.
대만 수출액은 15억8천만달러로 23.3% 늘었다. 반도체 제조용 장비(82.5% 증가), 반도체(25.5% 증가), 정밀화학 원료(173.7% 증가) 등의 수출이 크게 늘어났다.
온라인 수출도 12.0% 증가한 5억3천만달러로 처음 5억달러를 넘어섰다. 온라인 수출에서도 화장품이 2억9천만달러로 큰 비중을 차지했다.
기존 10대 주요 수출국이 아닌 영국은 2천600만달러로 180.0%, 네덜란드는 1천600만달러로 104.6% 늘어나는 등 K-컬처에 바탕을 둔 한국 제품 선호국가가 다양화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순배 중기부 글로벌성장정책관은 "K-뷰티가 전체 중소기업 수출 증가를 견인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패션, 푸드 등 K-소프트웨어에 기반한 다른 유망품목도 발굴해 성장시켜 나가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진성준 제명 국회청원 등장…대주주 양도세 기준 하향 반대 청원은 벌써 국회행
국힘 당권주자들, 후보 등록 후 '찬탄'도 '반탄'도 나란히 TK로
[인터뷰] 주호영 국회부의장 "절박감·전투력 없는 국힘, 민주당에 못 당해"
농식품장관 "쌀·소고기 추가 개방 없어…발표한 내용 그대로"
진성준 "주식시장 안무너진다"…'대주주 기준' 재검토 반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