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고령층 경제활동인구 첫 1천만명 돌파…희망과 현실 20년 격차

73세까지 일하고 싶지만 실제론 53세에 퇴직
경제활동참가율 60.9% 사상 최고…연금 수령액도 86만원으로 증가

2025년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고령층 부가조사 결과. 2025.8.6. 통계청 제공
2025년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고령층 부가조사 결과. 2025.8.6. 통계청 제공

고령층 경제활동 참여가 사상 최고 수준을 기록했지만, 일하고 싶은 나이와 실제 퇴직 나이 사이에는 여전히 20년 가량의 큰 격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6일 발표한 '2025년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고령층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고령층(55~79세) 경제활동인구가 1천1만명으로 처음 1천만명을 돌파했다. 이는 1년 전보다 32만8천명 늘어난 수치로, 2005년 관련 통계 시작 이후 최대 규모다.

고령층 인구는 1천644만7천명으로 지난해와 비교해 46만4천명 늘었다. 이는 15세 이상 인구의 36.0%를 차지하는 규모다. 고령층 경제활동참가율은 60.9%로 전년 대비 0.3%포인트(p) 올라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하지만 고령층이 원하는 근로 연령과 현실 사이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55~79세 고령층 중 69.4%인 1천142만1천명이 '장래에도 계속 일하고 싶다'고 답했는데, 이들이 원하는 평균 근로 연령은 73.4세로 전년(73.3세)보다 0.1세 늘었다. 연령대별로는 55~59세는 69.7세까지, 60~64세는 71.9세까지, 65~69세는 74.9세까지, 70~74세는 78.6세까지, 75~79세는 82.3세까지 일하기를 원했다.

하지만 취업 경험이 있는 고령층이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를 그만둔 평균 연령은 52.9세에 그쳤다. 전년보다 0.1세 늘었지만 여전히 희망 근로 연령과는 20년 이상 차이가 났다.

근로 희망 사유로는 '생활비에 보탬'이 54.4%로 가장 많았다. 이어 '일하는 즐거움'(36.1%), '무료해서'(4.0%), '사회가 필요로 함'(3.1%) 순이었다. 생활비 보탬 비중은 전년보다 0.6%포인트(p) 하락한 반면 일하는 즐거움은 0.3%p 상승했다.

고령층 취업자(978만명)를 직업별로 보면 단순노무 종사자가 221만4천명으로 가장 많아 전체의 22.6%를 차지했다.

지난 1년간 연금 수령자 비율은 51.7%인 850만2천명으로 0.5%p 상승했다. 월평균 연금 수령액은 86만원으로 5.0% 늘었다. 수령자 비율과 평균 수령액 모두 2008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최고치다.

지난 1년간 구직을 경험한 이의 비율은 20.0%인 329만7천명으로 0.7%p 내렸다. 주된 구직 경로는 고용노동부 및 기타 공공 취업 알선 기관(38.2%)이었고, 친구나 친지 소개 및 부탁(29.9%)을 활용하는 사례도 있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