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의성군, 산사태 특보 기준 통일·대응 강화

인명피해 최소화 '종합대책' 수립…주의보 발령되면 사전 대피 진행
기상 특보+산사태예측정보 동시 활용
특보 발령 기준 통일, 단계별 대응 방안 마련

의성군은 잦은 집중 호우 시 산사태 발생에 대비해 산사태 위기 경보 발령 기준을 통일하고 각 단계별 대응 기준을 마련한
의성군은 잦은 집중 호우 시 산사태 발생에 대비해 산사태 위기 경보 발령 기준을 통일하고 각 단계별 대응 기준을 마련한 '2025년 산사태 종합대책'을 마련했다. 의성군 제공.

의성군이 산사태 위기 경보 발령 기준을 통일하고 단계별 대응 계획을 세분화하는 내용의 '산사태 대응 종합대책'을 마련했다.

올 여름 잦은 집중 호우로 산사태 발생 우려가 커지고 있지만 위기 경보 발령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실시간 대응에 한계가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의성군은 지난해 수립한 '의성형 재난안전종합대책'에서 산사태 대응 분야를 보강하고 상황 단계별 발령 기준과 대응 체계를 강화한 '2025년 산사태 대응 종합대책'을 마련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대책은 인명피해 최소화를 목표로 산사태 특보 발령 시기에 대한 통일된 기준을 마련한 점이 특징이다.

또한 재난 발생 시 단계별 대비 체계와 산사태 대책 상황실 운영, 부서별 임무 등의 내용도 담았다.

특히 산사태 위기 경보 발령 기준을 자체적으로 정한 점이 특징이다.

의성군은 기상특보와 산림청의 '산사태예측정보시스템', 민가 인접 여부 등을 고려해 산사태 위험 경보를 발령하기로 했다.

산사태 발생 위험 수신 지역에서 반경 500m 이내에 민가가 있는 경우 ▷호우주의보 및 산사태 주의보(실황) 모두 수신 시 '산사태 주의보' ▷호우경보 및 산사태 경보(실황) 모두 수신 시 상황판단회의를 거쳐 '산사태 경보'를 발령하는 방식이다.

호우특보가 발령되지 않았더라도 산사태 예측 정보가 수신된 지역의 반경 500m 이내 민가가 있으면 선제적으로 산사태 주의보를 발령하고 주민 대피에 나서게 된다.

기존에도 '산사태예측정보시스템'에 측정되는 토양 함수율을 보면서 상황판단회의를 통해 위험도를 판단하고 위기 경보를 발령했다.

그러나 객관적인 위기 경보 발령 기준이 없고 권역 간 실시간 대응이 쉽지 않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의성군은 잦은 집중 호우 시 산사태 발생에 대비해 산사태 위기 경보 발령 기준을 통일하고 각 단계별 대응 기준을 마련한
의성군은 잦은 집중 호우 시 산사태 발생에 대비해 산사태 위기 경보 발령 기준을 통일하고 각 단계별 대응 기준을 마련한 '2025년 산사태 종합대책'을 마련했다. 의성군 제공.

산사태 주의보 발령 시에는 마을순찰대 등과 사전 대피를 진행하고, 안전재난문자로 대피 문자를 발송한다.

또한 산사태취약지역 인근 주민 280가구, 438명에게는 산사태 행동요령을 문자메시지로 알리게 된다.

산사태 경보 발령 시에는 산사태취약지역 인근 주민 799가구, 1천221명에게 대피 명령을 내리는 등 위험 지역에서 신속하게 대피시키기로 했다.

앞서 의성군은 산사태 사전 대비를 위해 민가 인근 지역과 산불 피해지역 등 중점관리지역 23곳에 대해 점검 및 정비를 진행했다.

아울러 초대형 산불 피해지역에 대해서는 산사태를 예방하고자 사방 사업을 추진 중이다.

김주수 의성군수는 "선제적·체계적 대응과 취약지역 상시 점검을 통해 산사태뿐만 아니라 모든 재난에서 안전한 의성군을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