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에 따른 소비개선 효과는 식음료 분야에서 가장 두드러진 것으로 조사됐다. 소비쿠폰 지급이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로 이어지고 있다는 평가도 나오고 있다.
행정안전부가 지난달 21일부터 지난 3일까지 2주간 9개 카드사(신한·삼성·현대·국민·NH농협·롯데·하나·우리·BC)의 소비쿠폰 사용 내역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소비쿠폰의 절반 이상(56%)이 대중 음식점과 마트·식료품에서 쓰였다.
소비쿠폰 사용액을 업종별로 보면 대중 음식점이 1조989억원(41.4%)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마트·식료품 4천77억원(15.4%), 편의점 2천579억원(9.7%), 병원·약국 2천148억원(8.1%), 의류·잡화 1천60억원(4.0%), 학원 1천6억원(3.8%), 여가·레저 760억원(2.9%) 순으로 나왔다.
소비쿠폰 지급이 시작된 지난달 넷째 주(21~27일) 가맹점 전체 매출액은 지난달 셋째 주보다 19.5%,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는 5.5% 각각 증가했다. 직전 주 대비 매출액 증가 폭이 큰 업종은 음식점(2천677억원), 주유(1천326억원), 의류·잡화(1천42억원), 마트·식료품(884억원) 순으로 조사됐다.
소비쿠폰 지급 이후 소비회복 효과가 나타났다는 조사 결과도 나왔다. 데이터 컨설팅기업 피앰아이(PMI)가 최근 전국 만 20~69세 1천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복수 응답)를 보면 소비쿠폰 도입 이후 소비가 늘었는지에 대한 질문에 응답자 43.3%가 "소비가 늘었다"고 답했다. 51.9%는 "비슷하다", 4.8%는 "줄었다"고 답변했다.
정책 시행 이후 생활환경 변화를 묻는 질문에는 "전통시장이나 마트가 활기를 되찾은 느낌이다"(37.8%), "식당이나 카페에 사람이 많아졌다"(37.4%)는 응답이 많았다. 13.9%는 "영화관, 공연장 등 여가 공간이 붐볐다"고 답했으며, 27.6%는 "눈에 띄는 변화는 없었다"고 했다.
정책 시행 중 아쉬운 점으로는 '사용처가 제한적'(48.4%)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향후 보완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항목에서도 '사용처 다양화'(52.4%)가 지목됐다. 또 '지급 기준 형평성 개선'(36.2%), '지원 금액 조정'(33.6%) 등이 보완이 필요한 사항으로 꼽혔다.
정부는 농어촌 지역에서 소비쿠폰으로 구매할 품목이 제한적이라는 지적을 수용해 하나로마트에서 소비쿠폰을 쓸 수 있도록 사용처를 확대하기로 했다. 추가 사용처 목록은 조만간 발표할 계획이다.

댓글 많은 뉴스
'전대 소란' 논란에... "전한길, 모든 전당대회 출입 금지"
李대통령, 조국·정경심·윤미향·최강욱 등 광복절 특별사면 [영상]
대통령 '특정인 면죄부' 견제 없는 사면권…무소불위 권력 지적
李대통령, 지지율 하락에도 조국·윤미향·최강욱 사면 강행
'시진핑·中대사 얼굴' 현수막 찢었다가…尹 지지단체 입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