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기업가치 흔드는 산업재해…ESG투자 새변수로 주목

사고 발생 땐 신용평가 부정적 영향
안전 투자로 등급 개선'경쟁력 강화

폭염특보 일주일째인 지난달 3일 울산 울주군 온산읍 에쓰오일 샤힌프로젝트 건설 현장에서 근로자들이 작업하고 있다. 이날 울산에는 폭염 영향예보
폭염특보 일주일째인 지난달 3일 울산 울주군 온산읍 에쓰오일 샤힌프로젝트 건설 현장에서 근로자들이 작업하고 있다. 이날 울산에는 폭염 영향예보 '경고' 단계가 발령됐다. 연합뉴스

최근 잇단 사망사고가 발생하는 건설업계는 물론 국내 자본 시장에서 중대 재해 리스크에 대한 인식 변화가 일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건설업 면허 취소 검토 등 강력한 조치를 요구하면서 산업재해 리스크가 산업 전반 시스템을 흔드는 부담으로 확산하고 있다.

11일 KB증권에 따르면 2024년 국내 산업재해 사망자 수는 589명로 집계됐다. 인구 10만명당 사망률이 4.2명에 이른다. 이는 OECD 가입국 평균(1.5명) 대비 2.8배에 달한다.

특히 지난해 5인 이상 전 사업장까지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대상이 확대하면서 최고경영자(CEO)가 구속되기도 했다. 이로 인해 산업 안전은 부가적인 과제가 아닌 기업 경영의 최우선 과제로 떠오르게 됐다.

중대재해가 발생할 경우 기업의 자본비용 상승은 불가피해졌다.

실제로 지난 2023년 검단신도시 지하주차장 붕괴 사고를 일으킨 GS건설은 시가총액이 급락했다. 신용평가사들은 A+였던 신용등급을 A로 낮춰 자기자본 비용과 타인자본 비용이 동반 상승하는 결과를 낳았다.

HDC현대산업개발도 2021년 광주 화정 아이파크 붕괴사고로 주가 급락은 물론, 신용등급이 하락하면서 가중평균자본비용(WACC)가 크게 상승했다.

김준섭 KB증권 ESG 애널리스트는 "이러한 사례들은 중대재해가 일회성 비용을 넘어 기업의 장기적 자금조달능력과 밸류에이션에 구조적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중대재해가 발생하면 건설업계는 공공입찰 참가자격이 3년간 제한된다. 민간 발주처 입찰도 배제되고 사전심사(PQ)에서도 감점을 받는 등 사업 제약이 크다. 최근 정부에서는 사망자가 1명만 발생해도 공공입찰 제안을 적용하는 것은 물론, 금융 기관의 대출 심사에서 안전등급을 반영하도록 의무화하는 등 규제 강화에 나서고 있다.

해외 신용평가사들도 최근 중대재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한 포스코홀딩스에 대해 국내 대비 낮은 평가를 내리는 등 앞으로 글로벌 경쟁력 하락도 우려된다.

무디스, 피치와 함께 세계 3대 신용평가사로 꼽히는 미국의 금융정보 분석기업 S&P글로벌은 최근 평가(7월 29일 기준)에서 포스코이앤씨 모회사인 포스코홀딩스의 ESG스코어를 45점으로 책정했다. 이는 100점 만점의 평균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서스테이널리틱스(SUSTAINALYTICS)도 ESG리스크 평가에서 중간 수준인 27.4점, 중간위험 등급을 부과하고 있다. 해외 신용평가사는 기업의 중대재해에 대해 가중치를 실시간으로 반영해 신용평가에 즉각 영향을 미쳐 사업 추진에 있어 리스크가 상당히 크다.

김준섭 KB증권 ESG 애널리스트는 "단기적으로 비용 부담이 있더라도, 안전투자가 ESG 등급 개선은 자금조달비용 절감으로 이어지고 수주 경쟁력 강화라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 수 있다"라며 "향후 안전관리 우수기업과 부실기업 간 밸류에이션 격차는 더욱 확대될 것이며, 이는 ESG 투자의 새로운 알파(초과수익) 창출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