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재학교와 과학고 졸업생들의 의약학계열 진학 제재 방안이 적용된 이후 계속 하락, 이들 졸업생의 의약학계열 진학률이 1~2%대까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교육부가 2020∼2025학년도 6년간 영재학교·과학고 의약학 계열 진학률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25학년도 대입에서 전국 8개 영재학교 졸업생의 의약학 계열 진학률은 2.5%로 2023년 이후 2년 연속, 전국 20개 과학고의 진학률은 1.7%로 2022년 이후 3년 연속 각각 감소했다.
이공계 분야 우수 인재 양성을 목표로 설립된 영재학교와 과학고 졸업생의 의약학계열 진학률은 2020년 이후 상승세를 보이다가 최근 하락세로 반전했다.
2020학년도 대입에서 영재학교 졸업생의 의약학계열 진학률은 6.9%였으나 2021년 7.5%, 2022년 8.8%, 2023년 10.1%까지 상승했다. 이후 2024학년도 6.9%로 하락세로 돌아선 후 올해 2.5%로 2년 연속 하락했다.
과학고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는데, 과학고 졸업생의 의약학 계열 진학률은 2020학년도 1.5%에서 2021년 1.8%, 2022년 2.9%로 상승했다가 2023년 2.2%로 꺾인 뒤 2024년(2.1%)과 올해(1.7%)까지 3년 연속 하락했다.
의약학 계열 지원율 역시 영재학교는 2023학년도 20.0%에 달했으나 2024년 13.6%, 올해 5.4%로 2년 연속 떨어졌으며, 과학고는 2022년 15.4%에서 올해 5.8%로 3년 연속 내려갔다.
교육부는 "2020년 이후 상승세를 보이던 영재학교·과학고 졸업생의 의약학 계열 진학 추이가 하락 추세로 전환했다"며 "교육부와 전체 영재학교가 2021년 4월 '의약학 계열 진학 제재 방안'을 공동으로 마련한 후 영재학교 학생들의 이공계 진로·진학 지도를 지속해 강화한 결과로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제재안에 따르면 영재학교 졸업생이 의약학 계열에 진학할 경우 교육비를 반납해야 한다. 또 영재학교 진학 후 수시모집으로 의대에 지원하려면 영재학교의 내신 산출 방식을 일반고 적용 기준으로 재산정해야 하는 등 상당히 불리하다.
과학고도 영재학교의 의약학 계열 진학 제재 방안을 준용해 자율적으로 제재 방안을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과학고의 학업중단·전출자 수가 증가 추세에 있고, 과학고와 영재학교 출신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진학자 수와 카이스트를 포함한 과학기술원 입학자 수는 감소 추세여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한 것인지에 대해 의심된다는 분석 또한 나오고 있다.
같은 날 종로학원의 분석에 따르면 과학고와 영재학교의 교육과정의 50~70%가 수학, 과학 위주로 편성돼 있어 수능 준비가 불가능한 구조인데다 이들 학교 졸업생들은 이공계에 진학한 후 반수 등을 통해 의대로 진학하는 경우가 있어 교육부 분석보다 실제 의약학계열에 진학한 영재학교, 과학고 졸업생 수는 더 많을 것으로 보고 있다.
종로학원 관계자는 "대학 알리미 공시 기준으로 의대가 설치된 39개 대학에 과학고, 영재학교 출신 신입생 수는 2021학년도 1천409명, 2022학년도 1천410명, 2023학년도 1천312명, 2024학년도 1천470명, 2025학년도 1천502명으로 꾸준히 늘고 있다"며 "과학고, 영재학교 출신이 의약학계열 진학이 줄어든 것이 일시적 현상인지, 추세적 흐름인지는 다소 지켜봐야 하는 상황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하락에도 조국·윤미향·최강욱 사면 강행
李대통령, 조국·정경심·윤미향·최강욱 등 광복절 특별사면 [영상]
'조국·윤미향' 영향?…李대통령 지지율 56.5%로 최저치
대통령 '특정인 면죄부' 견제 없는 사면권…무소불위 권력 지적
'시진핑·中대사 얼굴' 현수막 찢었다가…尹 지지단체 입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