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직해병 특검이 12일 임종득 국민의힘 의원(영주영양봉화)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조사했다. 순직해병 특검의 현역 의원 첫 소환 사례로, 3대 특검 수사가 본격화하면서 국민의힘 현역 의원들에 대한 수사가 더욱 전방위적으로 확산할 수 있다는 우려도 감지된다.
순직해병 특검팀은 이날 대통령실의 수사외압 의혹 규명을 위해 사망 사건 당시 국가안보실 2차장이던 임 의원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
임 의원은 2023년 8월 2일 당시 해병대 수사단장 박정훈 대령이 채 상병 수사 기록을 경찰에 이첩하자, 이를 국방부 검찰단이 회수하는 과정에 개입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임 의원은 채 해병 수사외압 의혹의 발단인 이른바 'VIP 격노'가 있었던 2023년 7월 31일 외교안보 수석보좌관 회의에는 휴가 중이어서 참석하지 않았으며, 개입설 역시 사실무근이란 입장이다.
특검 측 정민영 특별검사보는 12일 정례브리핑에서 "(임 의원의) 여러 통화가 이 (채 상병) 사건 국면마다 있다"며 "휴가 중이었을 때도 보고받은 내역이 있지만 내역만으로 어떤 통화를 했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조사해서 확인하는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공천개입 의혹으로 소환 조사를 받은 윤상현 의원을 비롯해 권성동·이철규 의원도 압수수색을 당하는 등 강제수사를 받는 현역 의원이 늘어나면서 국민의힘도 파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집행에 반발해 한남동 관저 앞을 찾았던 현역 의원 45명 등 누구라도 특검에 불려갈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려워서다.
국민의힘은 이날 한 언론사가 내란특검을 인용해 '국민의힘 의원 전원이 참여하는 텔레그램 대화방 대화내역이 삭제됐다'는 추측성 보도를 두고 "특검의 언론플레이"라며 유감을 표명했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하락에도 조국·윤미향·최강욱 사면 강행
李대통령, 조국·정경심·윤미향·최강욱 등 광복절 특별사면 [영상]
'조국·윤미향' 영향?…李대통령 지지율 56.5%로 최저치
대통령 '특정인 면죄부' 견제 없는 사면권…무소불위 권력 지적
조국 사면에 시민단체들 반발…"형기 30%만 복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