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6·27 가계대출 규제'와 은행권의 추가 대출 억제 조치 영향으로 지난달 가계대출 증가 폭이 절반 이하로 줄었다. 그러나 한국은행은 서울 집값 상승률과 금리 인하 기대 등 불안 요인이 남아 있어 추세적 안정 여부는 더 지켜봐야 한다고 진단했다.
한은이 13일 발표한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7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1천164조2천억원으로, 전월 대비 2조8천억원 증가했다. 이는 6월(6조2천억원) 대비 55% 축소된 규모다.
세부적으로 전세자금 대출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926조4천억원)은 3조4천억원 늘었으나,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236조8천억원)은 6천억원 감소했다. 박민철 한은 시장총괄팀 차장은 "최근 몇 달간 주택 거래 증가로 주택구입 목적 대출이 늘었지만, 6·27 규제 시행 후 생활자금용 주담대와 신용대출이 빠르게 줄면서 전체 증가 폭이 둔화됐다"고 설명했다.
향후 전망과 관련해 박 차장은 "규제 이후 집값과 대출 과열세가 대체로 진정되는 흐름"이라면서도 "서울 주요 지역 집값 상승률이 여전히 높고, 금리 인하 기대와 지역 간 풍선효과 같은 요인이 잠재돼 있어 안정세가 지속될지는 불확실하다"고 말했다.
같은 날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이 발표한 '가계대출 동향'에서도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달 2조2천억원 증가하는 데 그쳤다. 전월(6조5천억원) 대비 34% 수준이며, 지난 3월(+7천억원) 이후 가장 낮은 증가 폭이다.
은행권에서는 2조8천억원 늘었으나, 2금융권은 6천억원 감소해 상반된 흐름을 보였다. 금융당국은 "가계대출 증가세 둔화가 확인됐지만, 시장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며 필요 시 추가 대책을 강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래픽] 은행 가계대출 증감 추이 (서울=연합뉴스) 김민지 기자 = 한국은행이 13일 발표한 \](https://www.imaeil.com/photos/2025/08/13/2025081316274295200_l.jpg)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여성 2명뿐? 승진 더 시켜야겠다"... 간담회장 둘러보며 한 말
'공사장 추락 사망' DL건설 대표부터 임원진 전원 일괄사표
7월 전국 상승 거래 비중 둔화…수도권은 6·27 대책 여파 뚜렷
한국산업단지공단, 임직원 30여명, 경남 산청 찾아 수해복구 나서
AI 시대 핵심은 '보안'…엘앤에프, 크레텍 지역 산업계도 '잰걸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