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수입물가 6개월 만에 상승… 한은 "유가, 환율 상승 영향"

한국은행 '7월 수출입물가지수' 발표
수입물가 0.9% 상승, 수출물가도 1%↑
"국제유가, 원·달러 환율 모두 상승"

지난달 먹거리 물가가 1년 만에 가장 많이 오르면서 서민 부담이 커지고 있다. 100)으로 작년 동월보다 3.5% 상승했다. 식료품 중 과자·빙과류 및 당류(5.0%), 기타 식료품(4.7%), 우유·치즈 및 계란(3.6%) 등 가격도 많이 올랐다. 사진은 이날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장을 보는 시민. 연합뉴스
지난달 먹거리 물가가 1년 만에 가장 많이 오르면서 서민 부담이 커지고 있다. 100)으로 작년 동월보다 3.5% 상승했다. 식료품 중 과자·빙과류 및 당류(5.0%), 기타 식료품(4.7%), 우유·치즈 및 계란(3.6%) 등 가격도 많이 올랐다. 사진은 이날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장을 보는 시민. 연합뉴스

국제유가와 원·달러 환율 상승 등의 영향으로 수입물가가 6개월 만에 상승 전환했다.

1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수출입물가지수'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수입물가지수(원화 기준 잠정치·2020년=100)는 134.87로, 지난 6월(133.73)보다 0.9% 올랐다. 지난 2월부터 다섯 달 연속 하락세를 이어가다가 지난달 반등한 것이다.

원재료는 광산품(1.8%)을 중심으로 1.5% 올랐고, 중간재는 컴퓨터·전자·광학기기(1.6%), 화학제품(0.8%) 등이 오르면서 0.6% 상승했다. 자본재와 소비재도 각각 0.5% 올랐다. 세부 품목 중에선 메틸에틸케톤(7.8%), 기타귀금속정련품(12.3%), 플래시메모리(4.9%), 2차전지(2.3%) 등의 상승 폭이 컸다.

한은은 국제유가와 원·달러 환율이 모두 상승해 수입물가가 올랐다고 설명했다. 원·달러 환율은 지난 6월 평균 1천366.95원에서 지난달 1천375.22원으로 0.6% 상승했으며, 국제유가는 같은 기간 월평균 두바이유를 기준으로 배럴당 69.26달러에서 70.87달러로 2.3% 올랐다.

이문희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수입물가 전망에 대해 "이달 들어 두바이유는 전월 평균 대비 1.1% 하락했지만 원·달러 환율은 1.0% 상승했다"며 "국제유가와 환율이 상반된 움직임을 보이고 있고 대내외 여건 불확실성이 있어 향후 흐름을 지켜봐야 한다"고 했다.

지난달 수출물가지수(원화 기준)는 지난 6월(126.88)보다 1.0% 오른 128.19로 집계됐다. 수출물가도 넉 달 만에 상승세로 돌아선 상황이다. 품목별로 농림수산품이 4.2% 올랐고, 공산품도 컴퓨터·전자·광학기기(2.8%), 석탄·석유제품(1.9%) 등을 중심으로 1.0% 상승했다. 세부 품목 중에는 냉동수산물(5.1%), 경유(4.7%), 은괴(5.4%), D램(8.6%) 등이 큰 폭으로 올랐다.

무역지수(달러 기준)를 보면 수입물량지수(118.07)와 수입금액지수(138.31)가 작년 동월 대비 7.8%, 1.8%씩 상승했고, 수출 역시 물량지수(127.86)와 금액지수(142.27)가 각각 8.2%, 4.3% 오른 것으로 나왔다.

순상품교역조건지수(94.99)는 작년 동월 대비 2.1% 올라 25개월 연속 상승세를 유지했다. 수입가격(-5.6%)이 수출가격(-3.6%)보다 크게 하락하면서다.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수출상품 한 단위 가격과 수입 상품 한 단위 가격의 비율로, 우리나라가 한 단위 수출로 얼마나 많은 양의 상품을 수입할 수 있는지 가늠할 수 있는 지표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