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오션이 경남 거제사업장에서 건조한 미국향 초대형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2척이 명명식을 통해 본격 인도 절차에 들어갔다. 정부는 한미 조선협력 '마스가'(MASGA·Make American Shipbuilding Great Again) 프로젝트의 상징적 성과로 평가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4일 한화오션 거제사업장에서 초대형 LNG 운반선 2척의 명명식을 개최했다. 김정관 산업부 장관이 취임 후 첫 산업현장 방문지로 이 행사에 참석했다.
이날 명명식을 거친 선박은 미국 LNG 생산기업이 2022년 한화오션에 발주한 총 5척(12억달러 규모) 중 1·2호선이다. 척당 20만㎥ 용량으로 한국 국민 하루치 LNG 사용량을 한 번에 운반할 수 있는 초대형 규모다. 미국산 LNG의 전 세계 수출용으로 활용된다.
김 장관은 축사에서 "마스가는 미국 내 조선소 투자, 숙련 인력양성, 공급망 재건 등 미국 조선업 재건을 지원하면서 우리 기업의 새로운 시장 진출 기회를 창출하는 상호 윈윈 프로젝트"라며 "정부는 관계기관 협의체를 조속히 구성하고 미국 측과도 수시로 협의하면서 구체적 성과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한국은 LNG 운반선 시장에서 세계 최고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다. 현재 전 세계 운항 중인 760척의 LNG선 중 70% 이상이 한국산이다. 올해 상반기 글로벌 LNG선 발주량의 100%를 한국이 수주하며 세계 1위 지위를 확고히 했다.
김 장관은 명명식 후 한화오션에서 수행 중인 미국 군수지원함 '찰스 드류호' 유지·보수·정비(MRO) 현장을 방문했다. 한화오션은 현재까지 미 함정 MRO 3척을 수주했으며, 찰스 드류호는 11월 말 인도 예정이다.
김 장관은 "미 함정 MRO는 한미 조선협력의 시작점"이라며 "찰스 드류호도 K-조선 기술력으로 새로운 배로 재탄생시켜 달라"고 당부했다.
산업부 장관이 조선소 노조위원장을 면담한 것은 처음으로, 김 장관은 한화오션 노조 김유철 대우조선지회장과 만나 "현장 안전에는 노사가 따로 없다"며 "노·사·정부 모두 원팀으로 산재 예방에 만전을 기하자"고 강조했다.
그는 또 "마스가 프로젝트는 미국으로 일감 유출이 아니라 미국에서 우리 조선소에 새로운 기회를 의미한다"며 한미 조선협력 과정에서의 협조를 당부했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하락에도 조국·윤미향·최강욱 사면 강행
'내편은 묻지마 사면, 니편은 묻지마 구속(?)'…정권 바뀐 씁쓸한 현실
'우리 꿈 빼앗겼다' 입시비리 조국 사면에 수험생·학부모·2030 분노 표출
김건희 구속·국힘 당사 압수수색…무자비한 특검 앞 무기력 野
김여정 "확성기 철거한 적 없어…대북조치, 허망한 '개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