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의 '구국(救國)정신' 역사를 기억하기 위한 '국립구국운동기념관' 건립이 당초 2030년 준공 계획과 달리 최소 2년 이상 미뤄져 사업 추진에 차질이 생겼다.
또한 이재명 정부 들어 명칭이 '국립대구독립역사관'(가칭)으로 바뀌어 추진되면서 '2·28민주운동'의 역사 콘텐츠는 축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기념관 성격이 달라진 만큼 사실상 사업계획부터 대폭 수정될 가능성이 커졌다.
14일 대구시와 국가보훈부에 따르면 대구 중구 대신동 계성중학교 일원에 들어설 예정인 구국운동기념관 건립 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예타) 등 사전 절차에 착수하지 못한 채 불투명한 상황에 놓였다.
앞서 지난해 3월 윤석열 전 대통령이 대구를 찾아 구국운동기념관 건립을 약속하면서 국가 프로젝트로 본격화됐다. 보훈부는 2030년까지 구국운동기념관을 건립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총사업비 2천100억원(전액 국비)을 투입해 지상 4층~지하 2층(연면적 2만5천440㎡) 규모에 기념전시관, 역사문화광장 등을 조성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지난해 10월 보훈부가 신청한 건립 계획이 기획재정부 예타 대상사업 심사를 통과하지 못하면서 적신호가 켜졌다. 예타 재신청이 필요하지만 새 정부 출범 이후 보훈부가 사업 방향 수정에 나서면서 연내 재신청은 어려울 것으로 관측된다. 예타 대상에 선정된다 해도 수개월 조사 기간이 필요하고, 통과 여부 등 변수도 있어 애초 목표로 한 사업 착수는 어렵게 됐다.
아울러 기념시설 성격이 독립에 집중돼 대한민국 최초의 민주운동인 '2·28민주운동'의 역사 콘텐츠 비중이 축소될 가능성도 높다.
기념관 명칭은 2020년 '대구독립운동기념관'으로 제안된 이후 2023년 '구국운동기념관'으로 변경됐다가, 새 정부 출범 이후 '대구독립역사관'으로 또 한차례 바뀌게 됐다. 이는 지난 6월 대구시와 더불어민주당 대구시당의 당정협의회에서 명칭 변경에 대한 협의가 이뤄진 것으로 전해졌다.
보훈부 관계자는 "사업계획 보완 이후 예타를 신청할 계획"이라며 "명칭은 아직 정해진 바 없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하락에도 조국·윤미향·최강욱 사면 강행
'내편은 묻지마 사면, 니편은 묻지마 구속(?)'…정권 바뀐 씁쓸한 현실
'우리 꿈 빼앗겼다' 입시비리 조국 사면에 수험생·학부모·2030 분노 표출
김건희 구속·국힘 당사 압수수색…무자비한 특검 앞 무기력 野
김여정 "확성기 철거한 적 없어…대북조치, 허망한 '개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