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문화의 컨트롤 타워 역할을 상실한 대구문화예술진흥원 내부 갈등이 갈수록 점입가경이다. 진흥원의 난맥상을 다룬 매일신문 연속 보도(8월 4일 19면, 5일 22면, 7일자 19면, 8일자 26면, 12일자 22면, 13일자 19면)에서 지적된 문제에 대해 내부 기강을 바로 잡고 실태를 점검해 사태 해결에 나서긴 커녕 "누가 언론에 제보했느냐"며 죄없는 직원들을 상대로 뒤를 캐기에 정신이 없기 때문이다. 직원들은 "이번 기회에 갈갈이 찢겨진 진흥원의 내부 혼동을 바로 잡을 수 있을 거라고 일말의 기대감을 가졌지만, 대구시도 손을 놓은 상황이고 간부들은 도망치거나 자신들의 치부 감추기에만 급급하다"고 토로했다.
특히 이 와중에 18일자로 박순태 문예진흥원장은 시에 사표를 제출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재성 대구시 문화체육국장은 "이날 오전 사표를 제출했고, 현재 결재가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직원들은 "간부들이 월급만 많이 가져가고 권한만 누렸을 뿐, 누구 하나 사태가 이 지경에 이를 때까지 책임지는 사람이 없다"며 분개했다.
현재 진흥원에서 가장 문제를 빚고 있는 것은 매일신문이 지난 5일 22면에 보도한 "경영지원부장이 '인사' 막강한 영향력" 부분으로, 인사관리부서장(경영지원부장)이 당연직 인사위원을 맡는 대신 진흥원장에게는 인사위원회의 결정에 사인하는 것 외엔 아무런 권한이 없도록 교묘하게 수정됐다는 점이다. 이재성 문체국장 역시 "원장의 인사권이 무력화 했다는 지적은 인정할 수 밖에 없다"면서 "앞으로 진흥원 체계를 바로잡는 과정에서 이 문제에 대해서는 다시 점검하겠다"고 밝혔다.
'셀프 승진' 논란을 불러 일으켰던 A부장과 B부장은 "해당 인사위원회 회의에는 참석하지 않았다"면서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지만, 이해 당사자인 경영지원부장이 해당 업무를 회피·기피 신청하지 않고 승진 심사를 위한 '상정 안건 확정', '승진 계획 수립', '승진 예정자 선발', '승진자 확정', 승진 근거가 되는 '근무성적평정 조정' 등의 업무에 '업무 지시'와 '결재'를 한 것은 명백히 공정성 훼손에 해당한다는 것이 내부 직원들의 불만이다.

다른 문화재단 사례와 비교해봐도 진흥원 인사규정 제 8장 인사위원회 제 48조 "대구시의 문화기획팀장과 진흥원 인사관리부서장(경영관리부장)은 당연직이 된다"며 실무부서장을 특정해 당연직 위원을 맡도록 하는 경우는 찾아보기 힘들다. 전국의 대부분 광역문화재단의 인사위원 구성을 보면 본부장 또는 사무처장이 위원장 및 당연직 위원을 맡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직원들은 "직원 신분이 '인사부서장'으로 발령이 되었다는 이유로 실질적인 인사결정에 영향을 미칠수 있는 인사위원이 된다면 '실무적 영향력'과 '결정 권한'을 모두 가지게 돼 갖가지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김주범 대구시의회 문화복지위원회 의원은 "사실상 인사권이 무력화 된 조직이 제대로 운영될 리 없으며, 이 점에 대해서는 대구시도 책임을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철저하게 '그들만의 리그'를 통해 특정인들에게 유리하게 규정 개정이 이뤄진데다, 대구시장 및 진흥원장 모두 공석이라 사태 해결에 책임지고 나설 사람이 없다는 점에서 감사원 공익 감사 등 전문적인 기관을 통한 진흥원 바로잡기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난 충직한 일꾼…오직 국민만 믿고 직진"
'전교조 출신 첫 교육부 장관, 민변 출신 여가부 장관'…청문회 순탄할까?
"함께 보실 분"…李대통령, 내일 영화 '독립군' 국민 동반 관람
윤준병 "조국 사면 이후 사람들 침묵을 '아빠찬스' 동의로 해석하는 건 잘못"
'조국 특사' 때문?…李대통령 지지율 51.1%, 취임 후 최저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