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상원의원들이 조선 산업 협력 방안을 구체화하기 위해 한국을 찾았다.
AP통신은 17일(현지시간) 앤디 김(민주·뉴저지) 의원과 태미 덕워스(민주·일리노이) 의원이 이날부터 한국을 방문해 조선업계와의 협력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앤디 김 의원은 한국계 최초의 미국 상원의원이다.
두 의원은 한국 조선업체 관계자들과 만나 미 해군의 비전투용 함정 공동 건조·정비 가능성을 검토할 것으로 알려졌다. 미 해군이 보유한 보급선, 유조선, 화물선 등 보조함정이 노후화되고 부족해 개선이 시급하기 때문이다. 또한 육군용 소형 선박 건조, 인도·태평양 지역에서의 해군 함정 정비 문제도 논의 대상에 포함됐다.
앞서 한화오션은 미 해군 '찰스 드류'함을 비롯한 세 건의 유지·보수·운영(MRO) 사업을 수주한 바 있다. 이에 따라 두 의원이 한국에서 MRO 사업 확대를 협의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상원 군사위원회 소속인 덕워스 의원은 "미 해군이 본토까지 함정을 끌고 와 2년을 기다려야 정비한다면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이번 방한에서는 미국 조선소에 대한 한국 기업의 투자 문제도 다뤄질 전망이다. 덕워스 의원은 HD현대중공업을 언급하며 "그들과 미국 내 조선소 인수 가능성에 대해 논의한 적이 있다"고 밝혔다. 그는 "미국의 조선 능력을 재건해야 한다"며 "현재 조선 시설은 노후화돼 수리 과정에서 시간과 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된다"고 지적했다.
두 의원은 한국 일정을 마친 뒤 일본으로 이동해 현지 조선업체 관계자들과도 면담할 계획이다.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 상업용 조선 시장에서 중국이 53%를 차지했고, 한국과 일본이 뒤를 이었다. 미국의 비중은 0.1%에 불과했다. 한국은 앞서 상호관세 협상 과정에서 미국에 신규 조선소 건설, 인력 양성, 공급망 재구축, MRO 협력을 포괄하는 '마스가(MASGA)' 프로젝트를 제안한 바 있다. 양국이 해당 프로젝트를 가동하기로 하면서 HD한국조선해양, 한화오션, 삼성중공업 등 조선 3사는 마스가 태스크포스(TF)를 꾸리고 미국 군수지원함 유지·보수·정비(MRO) 사업을 따내는 등 물밑 작업을 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진숙 전 방통위원장, 법원에 체포적부심 청구…'내일 오후 3시' 진행
주진우 "9월 28일 李 '냉부해' 촬영 증거 추가 공개, 허위 브리핑 강유정 형사고발"
'추석민심' 李 긍정평가 59%, 부정평가 33%…'취임 100일'과 비교해보니
조국 "국힘 반드시 반토막 이하로 줄여야…걸림돌을 없애는 일"
이진숙, 체포 50시간 만에 석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