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미 상원의원, 한국 방문해 조선 협력 논의… 해군 함정 공동 건조·정비 검토

HD현대중공업 등 투자 가능성 거론… 美 조선 능력 재건 필요성 강조

대통령실이 3일 공개한
대통령실이 3일 공개한 '마스가'(MASGA·Make American Shipbuilding Great Again) 모자. '마스가'는 이번 한미관세협상 때 조선 분야 협력 내용을 압축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산업통상자원부가 만든 슬로건으로 한국협상단은 이 모자와 대형 패널 등을 준비했다. 연합뉴스

미국 상원의원들이 조선 산업 협력 방안을 구체화하기 위해 한국을 찾았다.

AP통신은 17일(현지시간) 앤디 김(민주·뉴저지) 의원과 태미 덕워스(민주·일리노이) 의원이 이날부터 한국을 방문해 조선업계와의 협력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앤디 김 의원은 한국계 최초의 미국 상원의원이다.

두 의원은 한국 조선업체 관계자들과 만나 미 해군의 비전투용 함정 공동 건조·정비 가능성을 검토할 것으로 알려졌다. 미 해군이 보유한 보급선, 유조선, 화물선 등 보조함정이 노후화되고 부족해 개선이 시급하기 때문이다. 또한 육군용 소형 선박 건조, 인도·태평양 지역에서의 해군 함정 정비 문제도 논의 대상에 포함됐다.

앞서 한화오션은 미 해군 '찰스 드류'함을 비롯한 세 건의 유지·보수·운영(MRO) 사업을 수주한 바 있다. 이에 따라 두 의원이 한국에서 MRO 사업 확대를 협의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상원 군사위원회 소속인 덕워스 의원은 "미 해군이 본토까지 함정을 끌고 와 2년을 기다려야 정비한다면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이번 방한에서는 미국 조선소에 대한 한국 기업의 투자 문제도 다뤄질 전망이다. 덕워스 의원은 HD현대중공업을 언급하며 "그들과 미국 내 조선소 인수 가능성에 대해 논의한 적이 있다"고 밝혔다. 그는 "미국의 조선 능력을 재건해야 한다"며 "현재 조선 시설은 노후화돼 수리 과정에서 시간과 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된다"고 지적했다.

두 의원은 한국 일정을 마친 뒤 일본으로 이동해 현지 조선업체 관계자들과도 면담할 계획이다.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 상업용 조선 시장에서 중국이 53%를 차지했고, 한국과 일본이 뒤를 이었다. 미국의 비중은 0.1%에 불과했다. 한국은 앞서 상호관세 협상 과정에서 미국에 신규 조선소 건설, 인력 양성, 공급망 재구축, MRO 협력을 포괄하는 '마스가(MASGA)' 프로젝트를 제안한 바 있다. 양국이 해당 프로젝트를 가동하기로 하면서 HD한국조선해양, 한화오션, 삼성중공업 등 조선 3사는 마스가 태스크포스(TF)를 꾸리고 미국 군수지원함 유지·보수·정비(MRO) 사업을 따내는 등 물밑 작업을 하고 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