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산불진화 3시간 비행 고중량 드론 개발한다

국토부, 총 165억원 투입해 상용화 추진
공항 조류대응 AI 드론도 함께 개발

소방 고중량 드론 개발 계획. 2025.8.20. 국토교통부 제공
소방 고중량 드론 개발 계획. 2025.8.20. 국토교통부 제공

정부가 산불진화에 특화된 고중량 드론과 공항 조류 충돌을 막는 인공지능(AI) 드론 개발에 본격 나선다.

국토교통부와 항공안전기술원은 20일 "'산불진화 특화 고중량 드론'과 '공항 조류대응 AI 드론' 상용화 개발 사업자를 선정해 개발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국토부에 따르면 5월부터 지난달까지 40일간 진행한 공모에 총 22개 컨소시엄(119개 기업)이 참여했다. 평가 결과 산불진화 드론 개발에는 엔젤럭스 컨소시엄, 조류대응 드론 개발에는 엔에이치네트웍스 컨소시엄이 최종 선정됐다.

엔젤럭스 컨소시엄은 2027년까지 3년간 총 115억원을 투입해 산불진화에 특화된 고중량 드론과 기체 운반 및 급수 특수 차량을 개발한다. 개발되는 드론은 최대 탑재중량 200㎏, 최대이륙중량 450㎏ 이상으로 소화액 등을 탑재하고 최대 3시간 비행이 가능하다.

해당 기체는 초기 화재 대응, 잔불 제거, 경계선 설정 등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지역 소방 임무 수행을 목표로 개발된다. 이와 함께 외국에서 운영 중인 유사 기체도 도입한다. 도입하는 드론은 최대 탑재중량 260㎏, 최대이륙중량 650㎏, 비행시간 2시간의 성능을 갖춘다.

엔에이치네트웍스 컨소시엄은 내년까지 2년간 약 50억원을 투입해 AI 기반 조류 탐지 및 대응 드론 시스템을 개발한다. 공항 반경 4㎞ 이내에서 조류를 탐지하고, AI가 비행 패턴을 분석한 후 군집 드론을 통해 조류를 감지·추적·소산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실증은 드론 비행시험센터(경북 의성, 경남 고성 등 전국 6곳), 무안공항 등에서 진행되며 공항 조류 대응 시스템과의 연동도 추진할 계획이다.

주종완 국토부 항공정책실장은 "이번 사업을 통해 다양한 산불진화 대응 수단을 갖출 수 있으며, 고중량 소방드론 상용화 개발에 성공한다면 공공 수요에 대한 국산 기체 보급이 활성화될 것"이라며 "조류대응 AI 드론 시스템 개발을 통해 공항주변 조류 충돌 사고를 예방하여 항공기 안전도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해 소방청, 산림청 등 관련 기관이 참여하는 실무TF 체계를 운영하여, 기체 개발과 현장 실증을 함께 추진할 계획"이라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