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발 관세 부과 여파에 이른바 'K-푸드' 수출 성장세도 꺾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미 농식품 수출이 줄어든 건 2023년 5월 이후 2년 2개월 만에 처음이다.
20일 한국무역통계진흥원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라면, 과자 등 가공식품을 포함한 농식품 대미 수출 금액은 1억3천900만달러(약 1천900억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천만달러(6.7%) 감소했다.
지난달 과자류 수출액은 2천만달러로 지난해보다 약 700만달러(25.9%) 감소했고, 소스류와 인삼류도 각각 7.2%, 13.4% 각각 줄어들었다.
핵심 품목인 라면의 지난달 대미 수출액은 1천400만달러로 17.8% 쪼그라들었다. 대미 라면 수출액은 지난 2월부터 6월까지 매달 2천만달러를 넘긴 상태였다. 지난 6월에는 라면 수출액은 작년 동기 대비 58.7% 늘어난 2천900만달러를 기록하기도 했다.
1~7월 누계를 보면 대미 농식품 수출은 10억7천300만달러를 기록하며 작년 동기 대비 21.3% 증가한 것으로 나왔다. 7월 한 달간 수출이 줄면서 누계 기준 증가율이 지난 6월 27%에서 5.7%포인트(p) 낮아진 것이다.
상호관세 발효를 앞두고 일부 거래처가 제품 발주를 앞당긴 점 등이 농식품 대미 수출이 줄어든 데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삼양식품 측은 "미국의 경우 관세 때문에 6월까지 수출을 많이 해 판매 물량을 확보했다"고 했다.
식품업계에서는 트럼프 관세 여파로 K푸드 대미 수출이 둔화하고 있다고 본다. 보편관세(10%) 적용에 따라 일부 품목의 소비자 가격이 상승한 데 이어 상호관세로 가격이 더 오르면 소비 감소가 불가피하고, 이에 미국 유통업체에선 발주량을 줄일 가능성이 높다는 설명이다.
미국 경기침체 우려에 소비심리가 둔화한 것도 부정적인 신호다. 최근 미국의 AP-NORC 여론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57.0%는 식료품비 지출이 주된 스트레스 요인이라고 답했다.
강은지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보고서에서 "미국에서 사업을 영위 중인 국내 업체들도 소비심리 둔화로 인한 영향을 면하기 힘들다"며 CJ제일제당의 2분기 미국사업 매출은 달러 기준 2.6% 감소했고, 농심 또한 환율 효과를 제거하면 미국사업 성장이 제한적일 것"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현지, 상명대 경제학과 졸업
면직 다음날 체포된 이진숙…수갑 들며 "李가 시켰나"
이진숙 전 방통위원장, 법원에 체포적부심 청구…'내일 오후 3시' 진행
'추석민심' 李 긍정평가 59%, 부정평가 33%…'취임 100일'과 비교해보니
주진우 "9월 28일 李 '냉부해' 촬영 증거 추가 공개, 허위 브리핑 강유정 형사고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