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경제단체들이 한국 경제의 역동성 회복을 위한 규제 개선 및 정책 대안을 제시하는 '기업성장포럼'을 발족한다.
대한상공회의소, 한국경제인협회, 한국중견기업연합회는 '기업성장포럼 발족 킥오프 회의'를 열었다고 20일 밝혔다. 이들 단체는 "법제 전반에 녹아있는 규모별 차등규제로 성장할 유인이 약화한 탓에 한국 경제 역동성이 크게 떨어졌다"며 포럼 발족 추진 이유를 설명했다.
실제 20년 전 미국 10대 기업(시가총액 기준) 중 지금도 10대 기업인 곳은 마이크로소프트 한 곳뿐이다. 반면 한국은 삼성, SK, 현대차, LG, 포스코 등 10대 기업 지위가 20년간 거의 바뀌지 않았고, 새로 진입한 곳은 HD현대, 농협뿐이었다고 이들 단체는 지적했다.
특히 한국의 10대 수출 품목도 반도체, 자동차, 선박, 무선통신기기, 석유제품 등으로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박일준 대한상의 상근부회장, 김창범 한경협 상근부회장, 이호준 중견련 상근부회장은 규제는 보호 중심에서 성장 위주로, 지원은 나눠주기식 대신 프로젝트 중심으로 바꿔가야 한다는 데 뜻을 모았다.
특히 기업 규모별 차등규제 해소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박일준 부회장은 "정부도 의지를 보이는 만큼 속도감 있는 정책성과를 위해 시행령·시행규칙 변경만으로 가능한 조치부터 이행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말했다.
글로벌 경쟁이 치열한 첨단산업군에 한해 금산분리, 동일인 규제 등을 예외 허용하는 것도 대안으로 제시했다. 투자·고용 효과 측면에서 지역경제 기여 효과는 대기업이 더 크지만, 현재 인센티브 구조는 중소·중견기업에 한정돼 있거나 기업 규모별로 차등 지원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댓글 많은 뉴스
김여정 "리재명, 역사의 흐름 바꿀 위인 아냐" 발언에…대통령실 "진정성 왜곡 유감"
한동훈 "조국 씨, 사면 아니라 사실상 탈옥, 무죄라면 재심 청구해야"
'조국 특사' 때문?…李대통령 지지율 51.1%, 취임 후 최저치
"횡령 의도 없다"…경찰, 문다혜 '바자회 모금 기부 의혹' 무혐의 처분
"尹 구치소 CCTV 영상 보겠다"…민주당, '자료 제출' 요구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