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퓨처엠이 프리미엄 전기차용 울트라 하이니켈 양극재와 고전압 미드니켈 양극재의 파일럿 개발에 성공했다. 스탠다드 및 엔트리 전기차 시장까지 모두 대응할 수 있는 양극재 포트폴리오 구축이 실현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21일 포스코퓨처엠에 따르면 현재 니켈 함량 80% 이상의 하이니켈 양극재 'N8x'를 중심축으로 한 프리미엄 양극재를 생산 공급하고 있고, 이번에 개발한 소재의 양산 공급이 더해지면 양극재 시장에서의 보다 큰 경쟁력을 갖게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니켈 함량을 95% 이상 늘린 울트라 하이니켈 양극재는 에너지밀도를 높여 주행거리를 극대화할 수 있다. 특히 미국, 유럽 등 프리미엄급 전기차 시장은 물론이고 미래 교통으로 주목 받고 있는 도심항공교통(UAM)에도 공급이 가능하기 때문에 관련 기술 향상에 지속적인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회사 측은 모빌리티의 AI(인공지능) 활용 확대와 자율주행성능 고도화에는 다량의 전력사용이 필수적이므로, 에너지밀도를 극대화한 울트라하이니켈 양극재 수요가 더욱 늘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포스코퓨처엠은 스탠다드 전기차 시장 공략을 위한 고전압 미드니켈 양극재 파일럿 개발도 완료했다.
고전압 미드니켈 양극재는 고가인 니켈 함량 비율을 60% 내외로 낮추고, 이에 따라 발생하는 에너지밀도가 낮아지는 문제는 고전압을 통해 해결할 수 있는 양극재다.
망간 비율을 높이고 단결정화를 통해 충·방전시 수축·팽창을 최소화함으로써 안전성은 더욱 높일 수 있게 됐다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여기에 더해 원료 비중에서 고가의 니켈이나 코발트 비율을 줄인 데다 수산화리튬 대신 저렴한 탄산리튬을 적용해 가격경쟁력도 확보했다.
포스코퓨처엠 관계자는 "이번 제품이 국내외 완성차 및 배터리사 등 고객사 요청시 적기에 생산·공급할 수 있도록 양산 기술을 확보하는데 속도를 붙이고 있다"며 "또 최근 LMR 양극재가 파일럿 개발을 마치고 연내 양산 기술을 마련한 만큼 앞으로 GM, 포드 등 글로벌 완성차들이 요구하는 수준의 제품도 적기에 공급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김여정 "리재명, 역사의 흐름 바꿀 위인 아냐" 발언에…대통령실 "진정성 왜곡 유감"
김건희 "내가 죽어야 남편 살길 열리지 않을까"
"횡령 의도 없다"…경찰, 문다혜 '바자회 모금 기부 의혹' 무혐의 처분
"尹 구치소 CCTV 영상 보겠다"…민주당, '자료 제출' 요구하나
"사과한다고 2030 마음 열겠냐"는 조국에 "이래서 사면 안돼" 우재준 비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