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증권사 주식거래 앱 사용자 10명 중 3명이 접속 장애나 시스템 오류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불만과 피해를 호소한 이용자도 60%에 육박해 투자자 보호 장치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소비자원은 22일 "최근 6개월 내 증권사 모바일앱을 통해 국내외 주식 투자를 한 소비자 2100명을 조사한 결과, 1240명(59%)이 불만·피해를 경험했다"고 밝혔다. 이는 2021년 조사 때의 52.2%보다 6.8%포인트(p) 높아진 수치다.
불만 유형별로는 시스템 오류·접속 장애가 630명(50.8%·다중응답)으로 가장 많았다. 이는 조사 대상 전체로 보면 사용자 10명 중 3명이 거래 타이밍에 치명적인 장애를 겪은 셈이다. 이어 ▷앱 로그인·인증 문제(603명·48.6%) ▷높은 수수료·숨겨진 비용(439명·35.4%) 순으로 집계됐다. ▷반대매매 강제 청산(15.4%) ▷허위·부정확한 투자정보 제공(15.1%) ▷과도한 신용거래 권유(12.8%) 등도 적지 않았다.
앱 만족도는 증권사별로 차이를 보였다. 7개 주요 증권사의 평균 점수는 5점 만점에 3.55점으로, 4년 전보다 0.04점 하락했다. KB증권(M-able)이 3.63점으로 가장 높았고, NH투자증권(나무)과 미래에셋증권(M-STOCK)이 3.61점으로 공동 2위를 기록했다. 신한투자증권(신한SOL증권)은 3.58점으로 평균을 웃돌았다.
반면 키움증권(영웅문S#·3.43점), 한국투자증권(한투·3.47점), 삼성증권(mPOP·3.52점)은 평균에 못 미쳤다.
세부 항목에서는 수수료·이자, 정보제공, 주식거래 등 핵심서비스가 3.76점으로 높았지만, 서비스 이용 시 감정 체험 만족도는 3.10점으로 낮게 평가됐다.
투자자들은 증권사 앱 선택 기준으로 '편의성·디자인'(31.4%)과 '거래수수료'(31.4%)를 가장 많이 꼽았다. 외국 주식 거래에서는 '낮은 환전 수수료'(33.4%)가 결정적 요인으로 나타났다.
댓글 많은 뉴스
김여정 "리재명, 역사의 흐름 바꿀 위인 아냐" 발언에…대통령실 "진정성 왜곡 유감"
김건희 "내가 죽어야 남편 살길 열리지 않을까"
"사과한다고 2030 마음 열겠냐"는 조국에 "이래서 사면 안돼" 우재준 비판
한미 정상회담 국방비 증액 효과, 'TK신공항' 국가 재정 사업되나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