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위성항법보정시스템(SBAS) 전문가들이 한국형 항공위성서비스(KASS) 기술 협력 강화를 위해 한국에 모인다.
국토교통부는 25일 "26일부터 28일까지 사흘간 서울 용산 피스앤파크 컨벤션에서 '제40차 위성항법보정시스템(SBAS) 상호운용성워킹그룹(IWG) 회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SBAS는 위성항법시스템(GPS)의 오차를 축소해 위성으로 정밀하고 신뢰성 높은 위치정보를 안정적으로 제공하는 국제표준 시스템이다. 상호운용성워킹그룹은 1997년부터 매년 미국·유럽연합 주도하에 10개 참가국이 국제표준화, 상호 운용성 및 기술협력 등을 주제로 협력하는 회의체다.
이번 회의는 2023년 12월부터 KASS가 본격적으로 항공용 서비스를 시작한 이후 처음으로 한국에서 열리는 국제회의다. 2017년 제32차 회의를 한국에서 개최한 바 있지만, KASS 운영 이후로는 처음이다.
회의에는 SBAS를 운영 중인 5개 국가(한국, 미국, 유럽연합, 일본, 인도)를 포함해 중국, 호주, 뉴질랜드, 아프리카 등 SBAS를 추진 중인 국가에서 80여 명의 전문가가 참석한다.
참석자들은 국제표준 개정, 기술 협력 및 활용 확산 방안 등을 심도 있게 논의한다. 특히 스푸핑(위치 조작) 및 재밍(전파방해) 등 불법 간섭을 최소화해 신뢰성이 높은 위치정보를 안정적으로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토론한다.
한국은 KASS의 개발, 시험 및 운영 과정을 소개하고 향후 3호기 위성(2027년 12월 발사 예정)과 4·5호기 위성 추가 확보 계획, KASS 적용 분야 확대 방안 등 연차별 추진계획을 발표한다.
국토부에 따르면 한국은 2022년 KASS 1호기 위성 발사와 2023년 항공용 서비스 제공에 이어 지난해 2호기 위성을 확보함으로써 안정적인 신호 제공이 가능해졌다. 더 나아가 자율주행·재난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KASS에서 제공되는 정밀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더욱 정확하고 효율적인 비행경로 운항이 가능해짐에 따라 항공기 지연·결항이 줄어들 뿐만 아니라 항로 단축에 따른 탄소 배출량 저감 효과도 기대된다.
또한 KASS 신호는 차량용 내비게이션에도 적용 중이며, 위치기반서비스(LBS)에 활용할 수 있도록 KASS 인터넷 전송시스템(KDAS) 구축 사업도 연내에 완료할 계획이다.
유경수 국토부 항공안전정책관은 "우리나라 전역에 초정밀 위치정보 제공을 통해 항공기의 비행 안전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다양한 미래 산업과도 연동해 위성 관련 산업과 기술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전략적인 기반을 구축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이번 회의를 계기로 전세계 5번째 SBAS 운영체계인 KASS의 국제 연계를 더욱 강화함으로써 위성항법 분야 기술의 국제적 위상도 더욱 높여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조국 또 '2030 극우화' 주장…"남성 일부 불만있어"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숨, 숨" 가방에 7시간 갇힌 9살 외침... 계모는 75㎏ 무게로 짓눌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