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회복 소비쿠폰'이 풀리고 한 달간 소상공인 매출이 지난해 대비 6.44%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소비심리가 점차 개선되면서 소비쿠폰을 사용할 수 없는 연 매출 30억원 이상 매장에서도 매출 증가세가 나타났다.
26일 한국신용데이터(KCD)에 따르면 민생회복 소비쿠폰 배포가 시작되고 4주(7월 21일∼8월 17일) 동안 전국 소상공인 평균 카드 매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44% 증가했다. 이는 KCD가 전국 소상공인 사업장 32만9천154곳의 카드 매출 자료를 분석한 결과다.
카드 매출액 증가 폭을 주차 별로 보면 소비쿠폰 배포 첫 주에는 7.27%, 둘째 주에는 10.13% 뛰었고, 셋째 주는 6.96%, 넷째 주는 1.21% 올라 증가세가 둔화하는 양상을 보였다.
강예원 KCD 데이터 총괄은 "민생회복 소비쿠폰 정책이 시행 4주 차까지 전국적으로 소상공인 매출을 끌어올리고 있다. 특히 연 매출 30억원 이하 소규모 매장에서 뚜렷한 효과가 확인됐다"고 진단했다.
소비쿠폰 배포 이후 4주간 연 매출 30억원 미만 소상공인 매장 매출이 약 6.89% 늘었고, 연 매출 30억원 이상 매장에서도 1.10% 증가했다. 소비쿠폰을 사용할 수 없는 연 매출 30억원 이상 매장에서는 매출이 줄 것이란 우려와 달리 증가세를 보인 것이다.
업종별 추이를 살펴 보면 소비쿠폰으로 인한 매출 증가 효과가 가장 큰 업종은 유통업(16.47%)으로 나타났다. 유통업 세부 업종 중에선 안경원 매출이 1년 전보다 43.95% 치솟았고, 패션·의류·잡화(33.16%), 완구·장난감(32.74%), 전자담배(31.30%), 화장품(30.11%) 등도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외식업(3.51%)과 서비스업(4.73%)도 1년 전보다 매출이 늘었다. 외식업 중에는 피자 전문점(18.78%), 국수 전문점(18.59%), 배달음식 전문점(14.15%) 등 소규모 외식 업종의 매출 증가율이 높은 편이었다. 서비스업 중에는 네일숍(29.35%), 비뇨기과(25.22%), 가정의학과(20.08%) 등에서 매출 상승이 두드러졌다.
KCD 관계자는 "고령화와 자기 관리 트렌드가 맞물리면서 의료서비스와 꾸밈 매출이 많이 증가했다"면서 "소비쿠폰을 계기로 상대적으로 고가인 필수 내구재나 자기만족형 소비가 활발히 이뤄진 결과로 해석된다"고 설명했다.
댓글 많은 뉴스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국민의힘 새 대표에 장동혁…"이재명 정권 끌어내리겠다"
'박정희 동상' 소송 본격화…시민단체 "대구시, 판결 전 자진 철거하라"
"진짜 사장 나와라" 노란봉투법 통과에 하청노조 요구 빗발쳐
조국 또 '2030 극우화' 주장…"남성 일부 불만있어"